1. 정류 (Rectification)
ㅇ 교류(신호)를 직류(신호)로 바꿈 (AC to DC)
- 보통,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단방향성을 갖게하고,
- 커패시터 평활회로를 거치면 직류 출력을 얻게 됨
ㅇ 전류를 오직 한 방향으로 만 흐르게 함
2. 정류기 구분
ㅇ 정류 극성 파형에 따른 분류
- 반파 정류기(Half-wave Rectifier)
- 전파 정류기(Full-wave Rectifier)
ㅇ 도통 제어 방식에 따른 분류
- 입력 전압 극성에 따라 도통 결정됨
. 다이오드 정류기 (전원주파수 교류 → 일정 직류)
- 도통 시점 제어에 따라 도통 결정됨
. 위상제어 정류기 (전원주파수 교류 → 가변 직류)
.. 교류 입력 전압의 위상을 제어하여, 교류 전력을 가변 직류 전력으로 변환
. 주로,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전원주파수 위상제어 사용
ㅇ 입력 전원에 따른 분류
- 단상 정류기
- 3상 정류기
3. 다이오드 정류기(Diode Rectifier) 구분
ㅇ 반파 정류기 (Half-wave Rectifier)
- 직류값(평균값)
. Vdc = Vpeak/π
- 실효값
. Vrms = 1.57 Vdc = Vpeak/√2 = 0.707Vpeak
- 반파 정류기 특징
. 구조 간단, 전압 이용률이 낮음, 리플이 큼
ㅇ 전파 정류기 (Full-wave Rectifier)
- 회로 구현 형태
. 브리지 회로 전파 정류기
. 중심탭 변압기 전파 정류기
- 직류값(평균값)
. Vdc = 2Vpeak/π
4. 정류기 구현상의 추가 고려사항
ㅇ 리플/맥동을 작게하기 위해, 정전용량이 큰 커패시터를 부하 저항에 병렬로 연결(평활회로)
ㅇ 부하 종류(R, RL, L등)에 따라 달라지는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등
- 해석 방법 구분 : 저항성 부하, 유도성 부하, 내부 직류 전압을 갖는 부하
5. 정류기 전기 응용
※ ☞ 전력변환기 참조
- 교류-직류 변환기(AC-DC 컨버터)의 한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