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소 형태/유형의 구분
ㅇ 주소길이 형태에 따른 구분 : (계층적, 평면적)
- 계층적 주소형태 (Hierachical Address Model)
. 국가번호, 지역번호 등과 같은 체계, 효율적 주소해석 및 전달 체계를 추구
. 例) 전화번호
- 평면적 주소형태 (Flat Address Model)
. 주민번호 처럼 고정길이 체계, 단지 유일성 외에는 별다른 의미를 내포 않음
. 例) Ethernet 주소
ㅇ 개념적 주소 구분 : (논리 주소, 물리 주소)
- 논리 주소 例)
. 통신용 주소 : 네트워크계층 주소 (IP 주소 : 공인 IP 주소, 사설 IP 주소)
. 컴퓨터용 주소 : 가상 메모리 주소 (CPU가 생성하는 주소)
- 물리 주소 例)
. 통신용 주소 : 데이터링크계층 주소 (MAC 주소)
. 컴퓨터용 주소 : 물리 메모리 주소 (메모리가 취급되는주소)
ㅇ 송수신 주소 구분 : (발신지/수신지 주소 또는 원천지/목적지 주소)
- 대부분의 전송방식이 점 대 다중점 링크로 보내지거나 받아지므로,
- 통상, 단일 프레임/패킷 내에,
. 송신지(Source Address) 및 수신지(Destination Address) 주소를 함께 보내어
송수신지 양쪽 모두를 명확하게 함 ☞ MAC 프레임, 이더넷 프레임, IP 패킷 헤더 참조
ㅇ 단일주소,집단주소 등에 따른 구분
- Unicast Address : 1 대 1 (특정 단일)
- Multicast Address : 1 대 多 (특정 집단)
- Broadcast Address : 1 대 多 (불특정 다수)
- 기타 방식(IPv6 주소) : Anycast (근접 누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