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기화합물의 분류
ㅇ 유기 화합물 대부분은, 탄소와 수소(탄화수소)를 기본으로, 비금속 원소들과 화합물을 이룸
ㅇ 탄소 원자들끼리의 결합 및 탄소 사슬에 다른 원소의 원자들이 부착 결합하는 형태에 따라,
무수히 많은 결합 형태가 가능함
※ 케쿨레(Friedrich August Kekulé, 1829~1896) : 독일 화학자
- 탄소 화합물의 분자 구조를 밝힘
- (1890년에 밝힌 1865년의 꿈 내용에서, 6개의 탄소원자로 이루어지는 벤젠 고리를 설명)
2. 탄화수소 및 그 유도체에 의한 구분
ㅇ 탄화수소 체 (Hydrocarbon)
- 단지 탄소(C)와 수소(H) 만으로 이루어진 공유결합 화합물
. 탄소 뼈대(사슬형 또는 고리형)에 수소 원자들 만 부착된 가장 단순한 유기화합물
ㅇ 탄화수소 유도체 (Hydrocarbon Derivatives)
- 탄화수소의 수소 원자(H)가 다른 원자 또는 원자단(작용기)으로 치환된 화합물
. 수소 원자 대신 치환된 원자단(작용기,Functional Group)에 따라 그 성질이 결정됨
※ 거의 모든 유기화합물은, 이런 단순한 탄화수소 체들로부터 유도됨
3. 탄소 뼈대에 의한 구분
ㅇ 결합 모양
- 사슬 모양 탄화수소 (Chain)
. 탄소들이 규칙적으로 이어져 한 가닥의 사슬 모양으로 공유결합하며 이루어짐
. 곧은 사슬(Normal Chain) 모양과 분지 사슬(Branched Chain) 모양이 있음
- 고리 모양 탄화수소 (Ring,Cyclic)
. 탄소들이 1 이상의 고리(환상 구조)를 갖음
. 탄소 원자들 6개가 고리 모양으로 있는 분자 => 시클로핵산(Cyclo-hexenes)
. 시클로핵산 중 중요한 한 부류가 방향족 탄화수소 임
ㅇ 벤젠 고리 유무
- 지방족 탄화수소 (Aliphatic Hydrocarbon)
. 탄소 원자들이 사슬로 연결되어 있거나,
. 분자 구조의 일부분으로 벤젠 고리가 아닌 다른 고리형 유기화합물
- 방향족 탄화수소 (Aromatic Hydrocarbon)
. 분자 구조의 일부분으로 벤젠 고리를 갖음
. 例) 벤젠(
) 및 벤젠 유도체 등
4. 탄화수소 포화도에 의한 구분
ㅇ 포화 탄화수소 (Saturated)
- 탄소의 모든 결합이 단일결합 (포화결합)을 갖는 분자 형태
- 즉, 탄소 원자가 다른 4개 원자와 모두 단일 결합을 이루므로,
이를 포화되었다고 말함
- 例)
. 사슬 모양 탄화수소 (알케인 단일결합)
. 고리 모양 탄화수소 (시클로알케인 단일결합)
ㅇ 불포화 탄화수소 (Unsaturated)
- 탄소가 이중결합,삼중결합 (불포화결합)을 갖는 분자 형태
- 例)
. 사슬 모양 탄화수소 (알켄 이중결합,알킨 삼중결합)
. 고리 모양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 단일결합,이중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