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ython 기초 문법
ㅇ 코드 내 문자 인코딩 방식
- 유니코드(UTF-8) 사용
ㅇ 주석
- 한 줄 주석 : #
- 다중 줄 주석 : ''' ~ ''', """ ~ """
ㅇ 변수 명칭
- 시작은 문자, _(밑줄) 만 가능
- 변수명은 문자, 숫자, _(밑줄) 만 가능
- 대소문자 구분
* 파이썬 예약어는 변수명에 사용 불가
ㅇ 예약어/키워드 ☞ 식별자 예약어 키워드 토큰 어휘항목 비교 참조
- False, None, True
- and, as, assert, break, class, continue, def, del, elif, else, except, finally,
for, from, global, if, import, in, is, lambda, nonlocal, not, or, pass, raise,
return, try, while, with, yield
ㅇ 변수 제거(소멸) : del 키워드 사용
ㅇ 문법 특징
- `코드 블록문`을 `들여쓰기`로 규정함
. 명령문 블록을 알리는 문장(조건식 등)은, => 콜론(:)으로 끝나야 함
. 명령문 블록의 나머지 명령문들은, => 반드시 들여쓰기(공백문자 4개 권고)를 해야 함
. 만일, 하나의 명령문 만 사용한다면, => 한 줄 명령문으로도 가능
. 한편, 기타 언어들은, `{ }`로 블록문을 규정함
- 하나의 문장은, 하나의 줄로 나타냄을 원칙으로 함
. 즉, 통상의 언어와 달리, 줄바꿈문자 `\n`(엔터키)로써 다음 문장으로 이동
. 단, 한 문장을 여러 줄에 이어쓸 때는, => 각 줄 끝에 (\, 역슬래시)을 붙여씀
. 단, 한 줄에 여러 문장들을 선언할 때는, => 매 문장 마다 세미콜른(;)을 붙여씀
- 다중 할당문 지원
. 例) a = b = c =1 # 여러 변수에 단일 값 할당
. 例) x, y = 'a', 'b' # 두 변수에 다른 값 할당
. 例) z = x, y = 'a', 'b' # 단일 변수에 다중 값 할당
. 例) x,y,z = 표현식 # 1 이상의 변수 x,y,z에 식 값을 각각 할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