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스템의 차수 구분 (최고차 미분계수)
ㅇ 0차 시스템 : 정적 요소 만 포함
- 입력 변화에 신속 반응 (단순 비례항 만 포함)
- 例) 정적 평형 상태에서 압력 게이지 등
ㅇ 1차 시스템 : 저장(메모리) 요소 포함
- 입력 변화에 즉각 반응 어려움 (1차 도함수항)
- 例) 온도계 또는 체온계 등
. 관성력(2차 도함수 항)은 무시되나, 감쇠력 및 저장(기억) 후 방출 능력(탄성력)은 있음
ㅇ 2차 시스템 : 관성 요소 포함 (2차 도함수항 포함)
- 例) 가속도계 등
. 관성력,감쇠력,탄성복원력 모두 가능
※ ☞ 상태 방정식, 자유도 등 참조
2. 시스템의 성질 구분
ㅇ `선형` 또는 `비선형`
- 입출력이 직선 비례 관계가 있는지에 따라 구분
ㅇ `시변` 또는 `시불변`
- 시간에 따라 시스템 특성이 변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
ㅇ `인과성` 또는 `비인과성`
- 현재 출력이 현재 및 과거의 입력에 만 의존하는지 여부에 따라
ㅇ `동적시스템` 또는 `정적시스템`
- 시스템 변수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지 여부에 따라
ㅇ `재귀적` 또는 `비재귀적`
- 출력이 다시 입력으로 사용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
ㅇ `연속시간시스템` 또는 `이산시간시스템`
- 시스템 입출력이 모두 연속신호인지 여부에 따라
ㅇ `일변수 시스템` 또는 `다변수 시스템`
- 일변수 시스템 : 단일 입력, 단일 출력를 갖는 시스템
- 다변수 시스템 : 여러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시스템 (다변수 함수)
ㅇ 시스템 `안정성`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