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레니우스(Svante Arrhenius)의 정의 (1887년)
※ (비록, 수용액일 경우 만 가능하지만, 빠르고 단순한 정의)
ㅇ 산 : 수용액에서 해리되어, 수소 이온(H+)을 내놓는 물질
- 例) 염산(HCl) : HCl → H+(aq) + Cl-(aq)
- 例) 황산(H2SO4) : H2SO4 → H+(aq) + HSO4-(aq)
ㅇ 염기 : 수용액에서 해리되어, 수산화 이온(OH-)을 내놓는 물질
- 例)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바륨(Ba(OH)2)
- 例) NaOH → Na+(aq) + 0H-(aq)
※ 아레니우스 정의의 한계점
- 불용성 물질 또는 비 수용액에서는 산,염기를 정의할 수 없음
. 例) 물 없이 존재하는 순수 진한 염산,황산 등
- 수소 이온(H+) 그 자체는, 수용액에서 물과 결합하여 하이드로늄 이온(H3O+)이 되어 정의할 수 없게됨
- 수용액에서 수소 이온(H+), 수산화 이온(OH-)을 내놓지 않는 물질에는 적용할 수 없음
. 例) 암모니아(NH3)
※ 아레니우스 : 스웨덴 화학자 (Svante Arrhenius. 1859~1927, 1903년 노벨 화학상)
2. 브뢴스테드-로우리(Brønsted-Lowry)의 정의 (1923년)
※ (비 수용액에서도 가능한 정의, 기체 상태 하에서도 가능)
- 산-염기 반응을 양성자 전이 반응으로 봄
ㅇ 산 : 양성자(즉, 수소 이온 H+)를 제공하는 물질 (양성자 주개)
- 반드시, 수소 원자를 포함해야 함
. 例) HCl, H2SO4, HSO4-, H2, H3O+, HBr, NH3
- 표기 : HA
ㅇ 염기 : 양성자(즉, 수소 이온 H+)를 받아들이는 물질 (양성자 받개)
- 반드시, 양성자(H+)와 결합할 수 있어야 함
- 표기 : B
※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의 한계점
- 비 수용액에서의 산-염기 반응은 설명할 수 있지만,
- 산이 이온화될 수 있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야만 한다는 제한이 있음
. 제한 例) 수소 원자가 없이도, 산 거동을 하는 BF3 등
※ 브뢴스테드 : 덴마크 화학자 (Johannes N. Brønsted, 1879~1947),
로우리 : 영국 화학자 (Thomas M. Lowry, 1874~1936)
※ 짝산-염기쌍 (conjugated acid-base pair)
- 산은 짝 염기(conjugate base), 염기는 짝 산(conjugate acid)이 대응하며 존재
. A-는, 산 HA의 짝염기(conjugated base)
. HA는, 염기 A-의 짝산(conjugated acid)
. B는, 산 BH+의 짝염기
. BH+는, 염기 B의 짝산
3. 루이스(Lewis)의 정의 (1923년)
※ (보다 더 일반적인 정의)
ㅇ 산 : 고립 전자쌍을 받을 수 있는 물질 (전자쌍 받개)
ㅇ 염기 : 고립 전자쌍을 제공하는 물질 (전자쌍 주개)
- 반드시, 고립 전자쌍 또는 파이결합을 갖고 있어야 함
. 例) (CH3)3CO- (산소 원자 주변에 고립 전자쌍),
H-C≡C-H (탄소 원자 간에 파이결합 전자쌍)
ㅇ 例) 암모니아(NH3)와 수소 이온(H+)의 결합 반응에서,
- 암모니아 분자는, 고립 전자쌍을 주는 염기이고,
- 수소 이온은, 이를 받는 산이 됨
※ Gilbert Newton Lewis (1875~1946) : 미국의 물리학자
※ H2O, CH3OH 등 처럼, 수소 원자와 고립 전자쌍 모두 갖는 화합물인 경우
- 주어진 화학반응 여건에 따라, 산일 수도, 염기일 수도 있음
. 例) CH3CH2OH (산 : 수소 원자 포함, 염기 : 산소 원자 주변에 고립 전자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