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탄화 수소 (Hydrocarbon)
ㅇ 탄소와 수소 만의 공유결합으로 구성된, 가장 단순한 유기 화합물로써, 유기 화합물의 골격을 만듬
- 탄소 C-C 결합이 기본 골격을 이루고,
- 수소 H 가 그 주변에 있고,
- 이들이 마치 사슬 또는 고리 형태로 연결되어 유기 화합물의 골격을 이루며,
- 이에 작용기가 반응물들을 붙잡게 됨
2. 탄화수소 및 그 유도체
ㅇ 탄화수소 체 (Hydrocarbon)
- 단지 탄소(C)와 수소(H) 만으로 이루어진 공유결합 화합물
. 탄소 뼈대(사슬형 또는 고리형)에 수소 원자들 만 부착된 가장 단순한 유기화합물
ㅇ 탄화수소 유도체 (Hydrocarbon Derivatives)
- 탄화수소의 수소 원자(H)가 다른 원자 또는 원자단(작용기)으로 치환된 화합물
. 수소 원자 대신 치환된 원자단(작용기,Functional Group)에 따라 그 성질이 결정됨
※ 거의 모든 유기화합물은, 이런 단순한 탄화수소 체들로부터 유도됨
3. 탄화 수소의 형태(뼈대)
ㅇ 지방족 탄화수소 (Aliphatic Hydrocarbon)
- 탄소 원자들이,
. 사슬로 연결되어 있거나 (사슬형),
. 분자 구조의 일부분으로 벤젠 고리가 아닌 다른 고리형 유기화합물 (고리형)
- 알칸/알케인(Alkane) 계 : 사슬형 포화 탄화수소
. `단일 결합` 만을 갖는 탄화 수소 (포화 결합)
. 일반식 : CnH2n+2
. 例) 메테인 (CH4), 에테인 (C2H6), 프로페인(C3H8), 부테인 (C4H10) 등
- 알켄(Alkene) 계 : 고리형 불포화 탄화수소
. 1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갖는 탄화수소 (불포화 결합)
. 일반식 : CnH2n
. 例) 에텐(ethene)/에틸렌 (C2H4)
- 알킨/알카인(Alkyne) 계 : 사슬형 불포화 탄화수소
. 1 이상의 `삼중 결합`을 갖는 탄화수소 (불포화 결합)
. 일반식 : CnH2n-2
. 例) 에틴(ethyne)/에타인/아세틸렌 (C2H2)
ㅇ 방향족 탄화수소 (Aromatic Hydrocarbon)
- 고리형 불포화 탄화수소
. 분자 구조의 일부분으로 벤젠 고리를 갖음
. 例) 벤젠(
,C6H6) 및 벤젠 유도체 등
- 고리형 포화 탄화수소
. 사슬식 구조의 곁사슬을 갖는 포화 탄화수소
. 例) 시클로 알케인(CnH2n)계 시클로 프로페인(C3H6) 등
4. 탄화수소의 포화도 : 단일결합(포화결합), 이중결합/삼중결합(불포화결합)
ㅇ 포화 탄화수소 (Saturated Hydrocarbon)
- 탄소의 모든 결합이 단일 공유결합 (포화결합)을 갖는 분자 형태
. 즉, 탄소 원자가 다른 4개 원자와 모두 단일 결합을 이루므로, 이를 포화되었다고 함
- 例) 알칸(Alkane), 시클로 알칸(Cycloalkane)
ㅇ 불포화 탄화수소 (Unsaturated Hydrocarbon)
- 탄소가 이중결합,삼중결합 (불포화 결합)을 갖는 분자 형태
- 例) 알켄(Alkene), 알킨(Alkyne)
- 한편, 다중 결합 중인 탄소 원자들은, 수소 원자 등의 첨가 반응(Addition Reaction)이 가능
. C-C σ 단일결합 보다 약한 π 결합이 깨어져 새로운 σ 결합이 형성됨
※ 단일결합 (포화결합), 이중결합/삼중결합 (불포화결합)
- 메탄 (CH4) : 단일 공유결합
- 에틸렌 (C2H4) : 단일 및 이중 공유결합
- 아세틸렌 (C2H2) : 삼중 공유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