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 메뉴 보이기 |
WiBro's Slot WiBro 슬롯, 휴대인터넷 슬롯 | (2005-11-06) |
1. 개요 휴대인터넷 및 802.16의 OFDMA 방식에서 슬롯은 사용자에게 할당 가능한 최소 데이터 영역(Region) 또는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 데이터묶음)의 단위를 말한다. 2. 참고사항 ㅇ 슬롯은 2차원적으로 구성되며, - 각 차원의 단위로는 하나는 시간이고 다른 하나는 부채널 번호 이다. ㅇ 슬롯은 심볼 구조에 따라 다르게 정의된다. - 즉, 상향/하향, FUSC/PUSC 등 ㅇ 슬롯은 하나의 부채널을 구성하게될 때, 부반송파들이 존재하는 심볼구간 임. - 결국, 슬롯의 길이는 부채널 종류에 따라 다름 - 예를들면, 하향링크의 프리앰블 바로 다음에 오는 2개의 연속된 심볼에 1개의 PUSC 부채널이 사용되며, 이 곳에 24비트의 FCH 가 포함된다. ㅇ 슬롯 크기는 다음의 3가지 형태가 가능하다. - 1 심볼 / 1 부채널 - 2 심볼 / 1 부채널 - 3 심볼 / 1 부채널
[물리계층 표준] | 1. 시스템 파라미터 2. 부반송파 (Subcarrier) 3. 파일럿 부반송파 4. 심볼 (Symbol) 5. 프레임 (Frame) 6. 슬롯 (Slot) 7. 빈 (Bin) 8. 타일 (Tile) 9. 기지국 측면으로 본 프레임 구조 10. 부채널 (Subchannel) 11. AMC 부채널 12. FUSC 부채널 13. PUSC 부채널 14. 다이버시티 부채널 15. CQI 부채널 16. AMC (적응 변조 및 부호화) 17. FCH 18. 레인징 (Ranging) 19. 순환확장 (Cyclic Extension) 20. 프리엠블 (Preamb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