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술공통 : 과학기술에 공통적으로 쓰이는 용어
- ▽ 기초과학 : 순수 과학
- 1. 과학 : 자연현상을 정량화시키고 이해하려는 학문
- ▽ 수학 : 과학의 언어
- 1. 수학 : 추상적인 상상의 산물이지만, 과학의 언어로써 유용하게 쓰임
- ▷ 기초수학 : 수학의 기초
- ▷ 집합,논리 : 구체적인 대상이 정해진 개체들의 모임/수학적 추론
- ▷ 해석학(미적분 등) : 미분,적분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수학 분야를 총칭
- ▽ 대수학 : 대수적 구조(체계)를 갖는 집합에서 연산의 일반적 성질을 연구
- 1. 대수학 : 산술,방정식 풀이,연산의 성질 등을 연구하는 학문
- ▷ 기초대수학 : 산술 또는 방정식 풀이와 관련된 수학 분야(주로,중고교)
- ▽ 정수론(수론) : 정수 및 그들의 성질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
- 1. 수론
- 2. 산술의 기본정리
- 3. 페르마의 소정리
- ▽ 수의 구분/표현 : 수의 집합적 구분 및 표현
- 1. 수 구분
- 2. 수 체계
- 3. 자연수
- 4. 정수
- 5. 분수, 소수
- 6. 유리수, 무리수
- 7. 실수
- 8. 복소수
- 9. 대수적 수, 초월 수
- ▷ 나눗셈 (가분성) : 나누어 떨어짐 및 나머지에 관한 용어들
- ▷ 소수,최대공약수 :
- ▷ 디오판투스 방정식 :
- ▷ 합동, 모듈러 연산 :
- ▷ 수론 (기타) :
- ▷ 조합론/셈법(Counting) : 다양한 패턴으로 나열하는(조합시키는) 방법을 연구
- ▷ 선형 대수학 : 크게, 행렬 및 벡터라는 두 수학적 대상 및 그 관계를 연구
- ▷ 추상대수학 : 어떤 대수적 체계 내에서 연산들이 불변인 성질을 규명하는 학문
- ▷ 확률/통계 : 확률 현상 및 그 표현을 정량적으로 다룸
- ▷ 수치해법 : 정확한 해에 근접하는 근사값을 구하는 체계적인 기법
- ▷ 물리 : 물리량들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과학
- ▷ 화학 : 물질의 성질,조성,구조,변화 및 그에 수반하는 에너지 변화를 연구
- ▷ 지구,천체 과학 : 지구 및 그 천체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
- ▷ 생명과학 : 생명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등을 연구
- ▷ 뇌과학 : 인간의 물리적,정신적 기능을 심층 복합 탐구하는 학문
- ▷ 진동/파동 : 진동 및 비국지적인 전파 현상 (빛,소리,지진 등)
- ▷ 전기전자공학 : 전기적 거동에 대한 일체의 현상 탐구
- ▷ 방송/멀티미디어/정보이론 : 다양한 정보의 생성,전달,표현을 다룸
- ▷ 통신/네트워킹 : 약속된 절차로 정보를 주고받는 제반 기술
- ▷ 정보기술(IT) :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 및 정보시스템의 제공,처리,이용
- ▷ 공학 (역학,기계,재료등) : 인간생활에 가치(효용)를 증대시키는 제반 기술
- ▷ 설계/표준/계측/품질 : 제품/서비스에 대한 유용성을 창조,유지,보증하는 기술
- ▷ 기술경영 : 공학과 경영학을 통합한 개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