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2.11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11, IEEE 802.11  

(2023-07-20)

무선랜 표준, 무선 LAN 표준


1. IEEE 802.11무선 LAN에 대해 IEEE 802 위원회에서 작성하는 일련의 표준 규격
     - 표준 대상 범위 : 물리계층(PHY), MAC 부계층, MAC 관련 서비스 및 프로토콜


2. 주요 표준

  ㅇ 802.11  (1997)  :  최초의 무선LAN 표준
     - 2.4 GHz 대역에서, 1~2 Mbps급 전송속도
        . DSSS, FHSS 기술 사용

  ㅇ 802.11a (1999)  :  (WiFi 1)
     - 5 GHz 대역에서, 802.11(1997)의 속도를 최대 54 Mbps까지 동작하는 확장 표준
        . OFDM 기술 사용

  ㅇ 802.11b (1999)  :  (WiFi 2)
     - 2.4 GHz 대역에서, 802.11(1997)의 최대 2 Mbps에서 최대 11 Mbps까지 올린 확장 표준
        . HR-DSSS 기술 사용

  ㅇ 802.11g (2003)  :  (WiFi 3)
     - 2.4 GHz 대역에서, 802.11b(1999)를 최대 22 또는 54 Mbps까지 고속의 동작을 위한 확장 표준
        . OFDM, DSSS 기술 사용

  ㅇ 802.11n (2009)  :  (WiFi 4), High Throughput (HT)
     - 2.4 GHz/5 GHz 대역에서, 최대 600 MHz까지 고속 전송이 가능
        . MIMO 기술 사용

  ㅇ 802.11ac (2013)  :  (WiFi 5), Very High Throughput (VHT)
     - 5 GHz 대역에서, 6 Gbps 속도 목표, 일명 `기가급 와이파이`
        . 주파수대역 : 5 GHz, 대역폭 : 20/40/80/160 MHz, 최대 전송속도 : 6.9 Gbps 

  ㅇ 802.11ax  (2020)  :  (WiFi 6), High Efficiency (HE), High Efficiency Wireless (HEW)
     - 2.4 GHz/5 GHz 대역에서, 대규모 혼잡 환경에서도 높은 수율 달성
        . OFDMA 기술 사용

  ※ 802.11 표준 문서 ☞ IEEE 802.11-2016 무선랜 표준


3. 기타 표준

  ㅇ 802.11aa (2012)  :  Video Transport
  ㅇ 802.11ad (2012)
     - 무선LAN을 60 GHz 주파수대역에서도 동작 
     - 전송방식 : directional multi-gigabit (DMG)
  ㅇ 802.11ae (2012)  :  QoS Management Frame
  ㅇ 802.11af (2014)  :  TV Whitespace
  ㅇ 802.11ah (2016)  :  1 GHz 이하 대역에서의 무선랜 기술
     - 센서 네트워크, IoT, M2M 등
  ㅇ 802.11ai (2016)  :  fast initial link setup (FILS)
  ㅇ 802.11aq  :  Service Discovery
  ㅇ 802.11ay  :  802.11ad의 개선

  ㅇ 802.11c (1998)
     - 802.1d에서 802.11 프레임을 지원, 유선LAN 및 무선ALN과의 브리지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MAC 기능 수정
  ㅇ 802.11d (2001)
     - 지리적 규제영역을 넘어서 로밍을 가능토록한 규격 
  ㅇ 802.11e (2005)      ☞  EDCA
     - QoS 보장/향상을 위한 일련의 MAC 기능의 향상 (우선권 지정 등)
  ㅇ 802.11f (2003.6 표준승인, 2006 표준철회)
     - AP 상호간에 로밍IAPP
  ㅇ 802.11h (2003)
     - 동적채널선택(DFS, Dynamic Frequency Selection) 및 송신전력제어(TPC,
       Transmit Power Control) 등 제안 (HiperLAN과의 호환성)
        . 유럽지역에서의 5GHz 대역 규제를 만족하기위한 성격이 강함
  ㅇ 802.11i (2004)  :  Enhanced MAC security
     - 802.11 MAC에 대한 보안 및 인증 메커니즘 확장 (Enhanced MAC security)
        . 기존 WEP보안 취약성에 대한 대응 및 보안 확장
        . AP 간에 로밍 환경하에서도 견고한 실시간 보안 제공 등 
  ㅇ 802.11k (2008)
     - 핸드오프 시점을 알려주는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 다양한 물리계층이 갖는 전파자원에 대한 측정 기능의 향상 등
  ㅇ 802.11p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 고속의 이동중인 차량 통신 지원 (텔레메틱스 응용 등)
  ㅇ 802.11r (2008)  :  Fast Secure Roaming (FSR)
     - Fast Basic Service Set Transition (Fast BSS Transition, FT) : 일명, Fast Secure Roaming
  ㅇ 802.11s (2011)  :  Mesh (메쉬 네트워크)         ☞ manetAd-hoc Network 참조
     - (보안 방식 : Simultaneous Authentication of Equals)
  ㅇ 802.11u
     - 외부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와의 연동
  ㅇ 802.11v
     - 무선 망 관리 (WLAN Network Management)
  ㅇ 802.11z
     - AP에 접속 및 동시에 두 STA 간에 direct link를 구성
        . TDLS : Tunneled Direct Link Setup
        . EDLS : Extention to Direct Link Setup


4. 무선LAN 주파수 범위  ☞ 무선 LAN 주파수, 무선 LAN 주파수(2.4GHz), 무선 LAN 주파수(5GHz)

  ㅇ 2.4 GHz 대역 : 2400~2480 MHz 
  ㅇ 5 GHz 대역   : 5150~5250 MHz, 5250~5350 MHz, 5725~5825 MHz(국내) 


5. [참고사항]

  ㅇ 802.11 통신계층구조   ☞ 802.11 물리계층(802.11 a/b/g/n 등), 802.11 MAC 부계층
  ㅇ 802.11 무선 LAN 구성  ☞ 무선 LAN 토폴로지 참조
  ㅇ 802.11 관련 제품 간의 상호운용성에 대한 시험인증서비스Wi-Fi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