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피던스 정합회로 (Impedance Matching Circuit)
ㅇ 신호원과 부하 사이에 임피던스 정합을 목적으로 삽입하는 2 포트 회로
- 신호원과 부하 사이에 무손실 수동회로(즉, 정합회로)를 삽입시켜 이루어짐
ㅇ 전송선로에서, 전송선로 부하 임피던스를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에 정합되게
전송선로 입력 임피던스로 변환
2. 임피던스 정합회로 구분
ㅇ 집중정수 소자를 이용한 정합회로망 (1 ㎓ 미만, 저주파대)
- L-형 회로 (Ladder Circuit,사다리형 회로)
. 주로, 낮은 주파수에서 작은 집적소자 형태의 2개의 리액티브성 소자를 사용
- Pi-형 회로 (π-network, π형 회로)
. 주로, 높은 주파수에서, 임피던스를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반사 손실을 줄이는 데 효과적
- T-형 회로
. 주로, 넓은 대역에서, 효과적인 임피던스 변환이 필요한 경우 사용
ㅇ 분포정수 소자를 이용 (1 ㎓ 이상, 고주파대)
- 스터브 정합 (직렬/병렬, 단일/다중)
- λ/4 변환기 (단일/다중)
ㅇ 위 방법들의 조합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