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X-선 (X-ray)
  ㅇ 1895년 뢴트겐에 의해 발견된, 파장이 매우 짧은 전자기 복사선
     - X-ray라는 용어는 알 수 없는 유형의 방사선을 의미
2. X-선의 발견 역사
  ㅇ X-선 발견 (1895년)
     - 독일 Wurzburg 대학 물리학 교수 Wilhelm Conrad Roentgen (뢴트겐,1845~1923)
        . 1901년 최초 노벨 물리학상 수상
  ㅇ X-선 회절 발견 (1912년)
     - 독일 Muchen 대학의 W.Friedrich, N.Knipping, M.von Laue(라우에,1879~1960)
        . 1914년 노벨 물리학상
     - 결정 구조 해석을 가능케 함
  ㅇ 위 회절 실험에 대한 간단한 수식 표현 및 몇가지 결정 구조를 해석함
     - 영국 물리학자 W.H.Bragg, W.L.Bragg(아들)
  ㅇ 원자 종류에 따라 파장 스펙트럼 특성이 달라짐을 발견 
     - 1913년 H. G. Z. Mosley
     - X-선 분광분석에 의한 화학분석을 가능케함
3. X-선의 특징
  ㅇ 투과력이 매우 강하고, 빛 보다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
     - 파장이 원자 크기 정도 (0.1 ㎚)
  ㅇ 물체 내부 구조의 관찰에 많이 쓰임
  ㅇ 굴절이 거의 일어나지 않음
4. X-선의 파장대
  ㅇ 매우 짧은 파장대 (약 1 Å 정도)
     - 원자 보다 짧거나 같은 정도
        - 파장 범위 : 약 10-5 ~ 100 Å (10-4 ~ 10 nm)
     - 파장에 따른 X선 구분
        . 경 X선 : < 1 Å (짧은 파장대)
        . 연 X선 : 10 ~ 20 Å (긴 파장대)
     - 응용 파장 
        . 분광법 이용 파장 : 약 0.1 ~ 25 Å
        . 결정구조 해석에 주로 이용하는 파장 : 0.3 ~ 3 Å
           .. [참고] 가시광선은 약 6000 Å 정도
4. X-선의 발생
  ※ ☞ X선 발생 (연속 X선, 특성 X선 등) 참조
     - `고 에너지의 전자의 감속` 또는 `원자의 내부 오비탈에 있는 전자들의 전자 천이`에 의해 발생
        . 연속 제동 X선 (연속 스펙트럼)
        . 특성 복사 X선 (선 스펙트럼)
5. X-선의 주요 응용
  ※ ☞ X선 응용 참조
     - X선의 방출,흡수,산란,형광,회절 현상 모두 분석에 이용됨
     - 파장 범위 : 약 10-5 ~ 100 Å (10-4 ~ 10 nm)
     - 파장에 따른 X선 구분
        . 경 X선 : < 1 Å (짧은 파장대)
        . 연 X선 : 10 ~ 20 Å (긴 파장대)
     - 응용 파장 
        . 분광법 이용 파장 : 약 0.1 ~ 25 Å
        . 결정구조 해석에 주로 이용하는 파장 : 0.3 ~ 3 Å
           .. [참고] 가시광선은 약 6000 Å 정도
4. X-선의 발생
  ※ ☞ X선 발생 (연속 X선, 특성 X선 등) 참조
     - `고 에너지의 전자의 감속` 또는 `원자의 내부 오비탈에 있는 전자들의 전자 천이`에 의해 발생
        . 연속 제동 X선 (연속 스펙트럼)
        . 특성 복사 X선 (선 스펙트럼)
5. X-선의 주요 응용
  ※ ☞ X선 응용 참조
     - X선의 방출,흡수,산란,형광,회절 현상 모두 분석에 이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