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nnel Diode   터널 다이오드

(2024-11-15)

Quantum Tunneling, 양자 터널링


1. 터널 다이오드양자 터널링 효과를 이용하여, 매우 빠른 스위칭이 가능한, 반도체 다이오드

  ㅇ 현상  :  양자 터널링 (Tunneling)                                         ☞ 아래 2.항 참조
     - 양자적인 입자의 경우에, 장벽 두께가 작으면,
     - 에너지 장벽인 전위장벽반사 만 하지 않고, 이를 투과할 유한한(어느 정도의) 확률이 있게됨

  ㅇ 구조
     - n,p 영역 모두 축퇴적으로(Degenerately),
     - 즉, 매우 높게 도핑된, 반도체 pn 접합 형태

  ㅇ 응용  :  부성 저항 특성 때문에,
     - 과거 잠시동안 초고주파 발진기에 사용되었으나,
     - 부성 저항 가능 범위가 작아 지금은 거의 사용 안함

  ㅇ 동작 특성  :  초 고속성 

   

  ※ [참고] ☞ 다이오드 종류 참조


2. 양자 터널링 (Quantum Tunneling)입자가 고전적으로 넘을 수 없는 에너지 장벽을 확률적으로 통과하는 현상
     - 이는 양자역학불확정성 원리파동 함수확률적 성질로 인해 발생

  ㅇ 특징
     - 고전 역학에서는, 입자에너지가 부족하면 장벽을 넘을 수 없음
     - 양자 역학에서는, 입자파동적 성질 때문에 에너지가 부족하더라도 장벽을 통과할 확률이 존재
     - 수학적으로, 파동 함수가, 장벽에서 지수적으로 감소하면서도 완전히 0 이 되지 않으므로,
        . 장벽 반대편에서도 입자 존재 가능

다이오드
1. 다이오드   2. 다이오드 종류   3. 다이오드 근사 해석   4. 제너 다이오드   5. 버랙터 다이오드   6. 포토 다이오드   7. PIN 광다이오드   8. 쇼트키 다이오드   9. 터널 다이오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 차재복, 건강 문제로 휴식중 )
[다이오드]1. 다이오드   2. 다이오드 종류   3. 다이오드 근사 해석   4. 제너 다이오드   5. 버랙터 다이오드   6. 포토 다이오드   7. PIN 광다이오드   8. 쇼트키 다이오드   9. 터널 다이오드  

  1. Top (분류 펼침)      :     1,604개 분류    6,618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