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s of Switching, Forwarding Technique 스위칭 방식, 포워딩 방식 | (2025-01-30) |
1. 스위칭 방식
ㅇ 입력된 프레임을 어떻게 출력에 연결시켜주는가에 대한 경로 결정 방식
2. 스위칭 방식 구분
※ 스위치의 종류에 따라, 입력 포트에서 수신된 프레임을 출력 포트로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다르며,
크게 다음과 같이 구분됨
ㅇ Store and Forward Switching
- 전체 프레임을 다 받은 다음에, 비로소 경로 결정하는 방식
. 장점 : 에러 검출이 가능하고 안정적인 전달 가능
. 단점 : 지연 시간(Latency)이 상대적으로 큼
ㅇ Cut-through Switching
- 프레임의 헤더 만을 보고, 바로 경로 결정 해주는 방식
. 장점 : 지연 시간이 짧아 고속 처리 가능
. 단점 : 에러 검출이 어려움 (전체 프레임을 수신 않기 때문)
ㅇ Fragment-Free Switching (Cisco社의 개량형 Cut-through 방식)
- 프레임의 처음 64바이트만 수신한 후, 에러 검출 및 경로 결정을 수행하여 전송하는 방식
. 대부분의 네트워크 에러(충돌로 인한 손상 등)는, 프레임의 앞 64바이트에 포함되어 있다는,
통계적 근거에 기반함
- Store and Forward와 Cut-through의 절충안으로 간주됨
. 에러 검출 가능성과 속도 간의 균형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