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cope   현미경

(2025-03-23)

1. 현미경 (Microscope, 顯微鏡)

  ㅇ 가까운 곳에 있는 작은 물체의 확대되는 상을 얻는 장치
     - 의미 :  '미세한 것을 드러낸다 (顯微)'


2. 현미경의 역사  

  ㅇ 초기 현미경(1590년대)과 망원경(1610년대)이 발명되고, 1600년대부터 기술 발전
  ㅇ 19세기, 에른스트 아베와 칼 자이스가 현대적 광학 현미경의 기초 마련, 색수차 문제 해결
  ㅇ 20세기, 1931년 에른스트 루스카에 의해 전자 현미경 발명, 이후 다양한 특수 현미경 개발
  ㅇ 현재, 디지털 이미징, 공초점 레이저 주사 기술, 초 해상도 기법 등 첨단 기술 접목중


3. 현미경의 원리광학적,전자기렌즈를 사용하여, ,전자빔 등으로 물체에 초점 맞추고, 이미지 확대 형성

  ㅇ 광학적 주요 개념
     - 분해능 : 두 점을 구별할 수 있는 최소 거리 (파장에 비례)
     - 배율 : 이미지 크기와 실제 물체 크기의 비율
     - 심도 : 초점이 맞는 깊이 범위
     - 대비 : 이미지 내 밝고 어두운 부분의 차이
     

4. 현미경의 구분

  ※ ☞ 현미경 구분 참조
     - 광학 현미경 :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이미지 형성
     - 전자 현미경 : 전자빔을 이용하여 이미지 형성
     - 기타 현미경 : 주사 터널링, 원자 , 초음파, X선 등을 이용

광학기기
1. 광학계   2. 확대경   3. 현미경   4. 현미경 구분   5. 광학 현미경   6. 전자 현미경 (TEM, SEM)   7. 망원경   8. 거울   9. 렌즈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