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Protocol Stack LTE 프로토콜 구조, LTE 프로토콜 스택 | (2022-03-04) |
LTE 계층 |
1. LTE 프로토콜 계층구조
※ 대부분의 프로토콜 개체들이, 사용자평면 및 제어평면 모두에 공통적인 기능 수행
2. 사용자평면 프로토콜 스택
ㅇ PDCP (Packet Data Convegence Protocol)
-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암호화(Ciphering),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등
ㅇ RLC (Radio Link Control)
- SDU 전송서비스 제공, SDU 분할 등
ㅇ MAC (Medium Access Control)
- 논리채널 다중화, HARQ 재전송 관리, 상향링크/하향링크 스케쥴링 등
ㅇ PHY (Physical)
- 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다중안테나 설정 등
3. 제어평면 프로토콜 스택
※ RRC,NAS 영역이 추가되어있음
- 나머지는 사용자평면과 거의 동일
ㅇ NAS (Non-Access Stratum)
- UE 인증
- UE 페이징, 베어러 관리, 이동성 관리 등
* 무선단말과 코어망 간에 직접 연계되어, 무선접속망(eNodeB)에 투명하게 이루어짐
ㅇ RRC (Radio Resource Control)
- 무선단말과 무선접속망 사이에서 제어 신호 메세지 생성과 관리
ㅇ S1AP (S1 Application Protocol)
- MME와 eNodeB 간 시그널링 프로토콜
※ 제어 평면 : 연결 설정, 이동성, 보안 등에 관련된 제어용 프로토콜들이 흐르는 평면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
차재복, 건강 문제로 휴식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