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vailability   가용성 , 가용도, 가용률, 가동률, 가용시간

(2024-01-29)

가용율


1. 가용성 (Availability)

  ㅇ 요구 기능을 요구 시간 동안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유지 관점)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고 성능을 유지하는 능력
     - (접근 관점)  언제든지 서비스에 대해 접근/접속 및 사용 가능한 능력
     - (시간 관점)  정상 동작 시간 확률 (신뢰성) ☞ 아래 3.,4.번 항 참조


2. [전산/보안/정보보호]  가용성시스템의 데이타 또는 자원을 필요로 할 때, 
     - 지체없이 원하는 객체 또는 자원을 접근 및 사용할 수 있는 성질

  ㅇ 즉, 데이터,정보,정보시스템이 요구된 방법으로 적시에 접근이 가능하고,
     - 인가된 사용자는 필요할 때 항상 정보의 사용이 가능한 특성

  ㅇ 고 가용성 (HA, High Availability)
     - 시스템(서버,네트워크,프로그램 등)을 장애 없이(중단 시간 없이),
       오랜 기간 가용한 상태로 운영할 수 있는 성질


3. [신뢰성 공학]  가용도 = 가동률 = (가용성 정량화 척도)

  ㅇ 정상 동작 비율 임
     - 어떤 기간 중에 제 기능을 발휘할 시간 비율 또는 확률
     - 시간 t에 대해 함수적 의존성을 갖음

  ㅇ 가용도 = 신뢰도 (생존 능력) + 보전도 (회복 능력)
     - 수리불가능계 (Nonrepairable)  :  가용도 = 신뢰도
     - 수리가능계 (Repairable)       :  가용도 = 신뢰도 + 보전도

  ㅇ (수리불가능계)  고장나지 않고 남게되는 잔존률
     - 시간 t까지 제품 중 몇 %가 고장나지 않고 남게되는 잔존률 : A(t)

  ㅇ (수리가능계)    수리 시간까지도 고려한 가동률
     - 순간 가용도 (Instantaneous Availability)
        . 시간 t에서 가동 확률 : A(t)

     - 극한 가용도,평균 가용도,정상 가용도 (Stationary Availability)
        . 장기간 t→∞ 가동 확률 : limt→∞A(t) = A
        . 가용도 = (MTBF) / ( MTBF + MTTR ) 
                = (평균고장간격) / (평균고장간격 + 평균수리시간)
                = (실질 가동 시간) / (총 운용 시간)

     - 例) 교환기 가용도는,
       . 고도의 안정성을 필요로하는 PSTN 등의 교환기 시스템이 가지는 가용도는
         일명 five-nines라고 하는  99.999% 
       . 이는 일년에 약 5초 정도 의 고장 시간을 의미
          .. 가용도 = (실질 가동 시간) / (총 운용 시간) = (1년 - 5초)/(1년 + 5초) x 100 
                    = (31,536,000 - 5)/(31,536,000 + 5) x 100 ≒ 99.999 % 

  ㅇ [유사 용어]  정성적인 용어로, 신인도 (Dependability) 라고도 함


4. [신뢰성 공학]  고장 관련 시간 간격 (MTTF, MTBF, MTTR)    ☞ 평균수명 참조고장평균시간 (MTTF)  :  고장날 때까지 평균 기대 시간                  (수리불가능계)
  ㅇ 평균고장간격 (MTBF)  :  매 고장까지의 작동 시간, 실질 가동 시간       (수리가능계)
  ㅇ 평균수리시간 (MTTR)  :  수리복구로 정상상태로 돌려놓기위해 걸린 시간  (수리가능계)

보안 특성
   1. 기밀성(Confidentiality)   2. 무결성(Integrity)   3. 부인방지(Non-Repudiation)   4. 접근제어(Access Control)   5. 인증(Authentication)   6. 가용성(Availability)   7. 권한부여(Authorization)  
신뢰성 척도
   1. 신뢰도   2. 고장률   3. 가용도   4. 평균 수명   5. 고장률 모형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