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eband   베이스 밴드, 기저 대역, 무 변조

(2022-10-21)

1. 기저대역 이란?

  ㅇ 기저대역 (Baseband)
     - `변조되기 이전` 또는 `변조되지 않는` 원래 정보 신호들이 있는 저주파 영역
        . f = 0을 포함하는 낮은 주파수 대역

  ㅇ 기저대역 신호 (Baseband Signal)
     - 신호 에너지 대부분이 기저대역(DC 근처, ~ 수 kHz, ~ 수 MHz) 내에 있는 신호
        . 원점에 주파수 성분의 중심을 둔 저주파 정보 신호

  ㅇ 기저대역 채널 (Baseband Channel)
     - 주파수 f = 0 을 포함하는, 낮은 주파수대역을 갖는, 통과대역(Passband)이라고 볼 수 있음

  ㅇ 기저대역 전송 (Baseband Transmission), 기저대역 변조 (Baseband Modulation), 기저대역 반송
     - 반송파 없는(주파수 천이 없는) 무 변조 전송을 말함
        . 보통 수 MHz 이내의 주파수 영역 전체를 사용
        . 평형케이블, 동축케이블, 광섬유케이블 등 주로 유선 전송로를 통하여 전송됨
        . 한편, 무선에 의한 통신 방식은, ☞ 무선 통신, 변조, 주파수천이 등 참조
     - 대부분의 신호 전력 스펙트럼이, 저주파 대역에 집중되어서 전송됨

  ㅇ 기저대역 시스템 (Baseband System)
     - 변조복조의 필요 없이, 기저대역에서 전송,처리가 이루어지는 시스템

  ※ 한편, 무 변조 전송은, 
     - 주로, 정보를 싣지않은채 항상 일정한 변조 주파수전송하는 것을 일컬음


2. 기저대역 통신 특징

  ㅇ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 모두에 사용 가능
     - 아날로그 기저대역 통신 : 무 변조 하에 아날로그 신호를 그대로 전송
     - 디지털 기저대역 통신   : 디지털 부호들이 펄스 열로 대응 변환되어 무 변조하에 전송
        . [참고] ☞ 선로부호화(유선전송매체에 최적화시킴), 펄스 변조 

  ㅇ 기저대역 통신 장단점
     - 장점 : 구현이 비교적 간단하고 값이 저렴
     - 단점 : 주로 무 변조로 전송하므로, 단거리에 많이 사용되며, 대용량 및 원거리용
              전송에는 많이 쓰이지 않음 (광통신은 예외)


3. 기저대역 신호의 표현

  ㅇ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표현
     기저대역 등가(저역통과 등가) 신호 표현
     - 대역통과 신호를 기저대역 상에서 등가적으로 표현하는 신호
        . 수학적, 신호처리 면에서 취급이 용이함


4.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및 대역통과 전송 차이점

  ㅇ 기저대역 전송 
     -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전송로에 적합한 펄스 파형으로 대응 변환시켜 전송

  ㅇ 대역통과 전송
     -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 반송파 진폭,주파수,위상변조시켜 전송
        . 무 변조하의 기저대역 전송이 아닌, 높은 반송파주파수 이동시켜 변조하는 방식

5. UWB (초광대역 기술) 이란?

  ㅇ 수 GHz 대역폭의 매우 짧은 펄스 및 매우 낮은 스펙트럼 밀도를 이용하는
     새로운 기저대역 통신 방식

변조 신호 해석
   1. 기저대역   2. 대역통과   3. 직교위상 반송파   4. 복소 포락선   5. IQ 다이어그램   6. 직교 반송파   7. 오류벡터치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