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p   홉

(2020-06-27)

Next Hop, 다음 홉, Hop Count, 홉 수, Hop Limit, 홉 한계, Hop by Hop, 홉 바이 홉


1. 홉 (Hop)

  ㅇ 홉이란 영어 뜻 자체로는 건너뛰는 모습을 의미

  ㅇ 데이타통신망에서 각 패킷이 매 노드(또는 라우터)를 건너가는 양상을 비유적으로 표현
     - 이러한 체계를 hop-by-hop 체제라고 함                                ☞ TTL 참조


2. 다음 홉 (Next Hop)

  ㅇ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가기위한 바로 다음의 라우터를 말함

  ㅇ 각 노드(라우터)는,
     - 수신된 패킷헤더부분에 있는 주소를 조사하여,
     - 라우팅 테이블에 있는 최적 경로 상에 있는 다음 홉 라우터 인터페이스를 찾아내어,
     - 수신 패킷을 다음으로 Hop 할 라우터를 향하는 그 인터페이스에게 넘겨 전달함           


3. 홉 수 (Hop Count)

  ㅇ 거치게되는 라우터 수

  ㅇ 例) RIP 라우팅 프로토콜의 경우
     - 최대 홉 수 : 15개 (16은 `무한대`를 의미)


4. 홉 한계/제한 (Hop Limit 또는 TTL)IP 헤더 내에서 8 비트로 그 값을 나타냄
     - 헤더 내 필드 명칭 : `TTL(IPv4)` 또는 `Hop Limit(IPv6)`
     - 최대 홉 값  = 28 - 1 = 255
     - 권장 기본값 = 64

  ㅇ 멀티캐스트 패킷의 경우
     - RIPv2, OSPF 에서 이웃라우터를 넘어서 멀티캐스트 패킷을 전달되지 못하도록 함
        . 즉, `TTL(IPv4)` 또는 `Hop Limit(IPv6)` = 1

  ㅇ 한편, IPv6에서 Hop Limit = 255 (가장 큰 수)는 특별한 의미를 갖음
     - 보안성 강화를 위해, 라우터가 이 값의 패킷을 아예 라우팅 처리하지 않음 즉, 무시함
        . 즉, Local Link 영역 내에서 만 통용됨
     - ICMPv6 NDP 메세지(5 종류)에 이 값(255)이 쓰여짐
        . 이 값으로 쓰여지지 않는 NDP 메세지들은 무시되어짐
     - RFC 5082 (The Generalized TTL Security Mechanism, GTSM)

RIP
   1. RIP 라우팅 프로토콜   2. RIP 패킷   3. 거리벡터 알고리즘   4.   5. RIPv2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