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 BIM   Interleaved Multiplexing, Byte Interleaved Multiplexing, Byte Interleaving   교직 다중화, 바이트 교직 다중화, 바이트 인터리빙, 바이트 단위 다중화

(2018-08-29)

1. 개요인터리빙 (Interleaving)
     - 신호의 부분 부분들을 일정 규칙에 따라 끼워넣기하는 것

  ㅇ 교직 다중화 (Interleaved Multiplexing)
     - 각 채널신호 일부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추출해서,
     - 이들을 일렬로 세워가며 다중화 함
     - 즉, 서로 다른 신호들을 단순히 Byte 또는 Bit 단위로 차례대로 서로 엇갈려가며 다중화


2. 교직 다중화 방식 구분

  ㅇ [비동기식 다중화(PDH)] 비트 또는 바이트 단위의 교직 다중화
     

  ㅇ [동기식 다중화(SDH/SONET)] 바이트 교직 다중화 (BIM, Byte Interleaved Multiplexing)
     - 동기식 다중화는 모두 바이트(Byte) 단위의 교직 다중화를 수행

        

        . 예를들면, n개의 각 STM-1 프레임에서 한 바이트 씩 차례로 추출하여 바이트 단위로
                    교직 다중화되며  고속의 STM-n 을 형성하게 됨
           .. ☞ TU(계위신호 단위) 참조
   
  ※ 어원
     - 다중화신호 프레임 상의 종속신호들의 배치가,
     - 마치 직물(베)을 짤 때의 날줄을 기준으로 씨줄이 차례로 교차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 이를 교직 다중화라고 표현함

동기식전송방식(기초)
   1. 교직 다중화   2. 다중화기   3. 데이터 통신 채널(DCC)   4. 비트 위치맞춤   5. 인터리빙   6. 전달망   7. 페이로드   8. 홀드오버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