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c Electricity   정전기

(2022-12-08)

정전 , ESD, Electrostatic Discharge, 정전기 방전 대책


1. 정전기 (靜電氣, Static Electricity) 이란?

  ㅇ 물체가 대전되어 전하량을 품고, 그만큼 전위를 띄게되는 현상


2. 정전기 현상방전(放電)  ↔  대전(帶電)
     - 방전  :  대전체가 알짜 전하를 잃어버리는 것
     - 대전  :  물질이 알짜 전하를 갖게되는 것


3. 정전기 발생역학적 작용  :  (마찰,접촉,박리 등)
     - 절연체 간, 절연체 도체 간, 도체 간
     * 2개의 믈체가 접촉하면, 전하의 분리가 일어나고, 이에 정전기가 발생됨

  ㅇ 정전유도  작용
     - 도전성 매질(도체)이 정 전기장 (대전체)에 반응 함

  ㅇ 분극 작용
     - 절연 물질(유전체)이 정 전기장 (대전체)에 반응 함


4. 정전기 대책  :  정전기 방전 대책 (ESD, Electrostatic Discharge)접지  :  도체인 경우에 만 적용 가능
     - 손에 감는 접지용 끈 (리스트 랩), 접지 발판, 정전기 방지용 신발,의복 등

  ㅇ 중화제(제전기,이오나이저) 사용  :  반대 극성의 이온을 공급
     - 대전체와 반대 부호의 전하를 만들어내어, 물체의 전하를 중화시키는 등
     - 코로나 방전식 제전기, 광 조사식 제전기

  ㅇ 절연체에 대한 대책  :  도전화
     - 재료 표면의 도전화, 도전성 재료의 혼입, 습도 관리 등

  ※ 한편, 반도체 IC 칩의 경우에,
     - 정전기 방지용 도포 시트(anti-static foam) 위에 놓거나,
     - 도전성 랩(conductive wrapper)으로 감싸 보관하는 등


5. 정전기 측정

  ㅇ 정전기 측정의 어려움
     - 정전기는 전압이 높고, 전류가 미소하므로, 통상의 측정기로는 측정 불가
     - 측정을 위해 접촉하면 원래 상태가 변하게 됨
     - (이는 전하 분포가 공간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임)

  ㅇ 주요 측정기  :  정전 전위계
     - 대전된 물체 주변에 정 전기장이 발생되므로, 이를 통해 측정

전하
   1. 전하   2. 전자   3. 대전   4. 방전   5. 정전기   6. 정전 유도   7. 전자 방출   8. 전자 유형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