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istic, Nondeterministic   결정론적, 비결정론적

(2023-05-30)

결정론적 모델 비결정론적 모델 비교, Deterministic Model, 결정론적 모델, 결정적 모형, Deterministic, 결정 신호, 확정 신호, Statistical Mode, 통계적 모델, Random Signal, 랜덤 신호, 불규칙 신호


1. 결정론적 모델 및 비결정론적 모델 비교 (불확실성 관점에 따라)

  ㅇ 결정론적/확정(Deterministic) 모델
     - 예측할 수 있음 
        . 정확한 수학적 관계식에 의해 예측
     - 오차(불확실성)를 허용하지 않음

  ㅇ 비결정론적(Nondeterministic)/불규칙/랜덤(Random)/통계적/확률모델 
     - 예측 불가능
        . 다만, 통계적인 방법으로 만 추정확률 모형, 통계적 추정 참조
     - 오차(불확실성)를 허용함


2. 결정론적/확정(Deterministic) 신호

  ㅇ 과거 값으로부터 미래 값을 예측할 수 있음
     - 신호시간의 특정 함수모델화할 수 있음
       . 즉, 정확한 재생이 가능

  ㅇ 결정신호는 크게 다음 2가지로 구분 가능
     - 주기(Periodic) 신호       : 주로, 전력 신호
     - 비주기(Non-periodic) 신호 : 주로, 에너지 신호통신이론에서 결정론적 신호의 표현
     - 하나의 파형 신호로 표현 가능
     - 하나의 신호 벡터로 표현 가능
     - 신호공간에서 하나의 점으로 표현 가능

  ㅇ 결정신호의 모델링
     - 통상, 정현파(사인파) 등으로 묘사


3. 비결정론적(Nondeterministic)/불규칙/랜덤/확률적/통계적 신호 

  ㅇ 어떤 주어진 시간에서 랜덤 값을 갖음 (예측 불가능성)
     - 즉, 신호 파형을 명확하게 표현 불가능
        . 그러나, 오랜 시간 관찰할 경우에  확률적으로 모델화가 가능할 정도의 규칙성
          을 갖음  ☞ 랜덤성,랜덤변수,랜덤프로세스 참조

  ㅇ 통신이론에서 비결정론적 신호의 표현
     - 신호공간에서 뿌연 구름 처럼 표현하기도 함

  ㅇ 랜덤신호의 모델링랜덤과정(랜덤프로세스) 참조
     - 전기적인 랜덤과정으로 간주되며,
     - 랜덤과정에서 나올 수 있는 무수히 많은 표본함수들로써 묘사 가능함

랜덤과정 용어
   1. 결정론적/비결정론적   2. 랜덤   3. 랜덤 변수   4. 표본 함수   5. 앙상블,앙상블 평균   6. 표본 랜덤변수 랜덤과정 앙상블 비교   7. 독립 항등 분포(iid)   8. 독립 증분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