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6 Address   IPv6 주소, IPv6 어드레스

(2022-09-24)

1. IPv6 주소IP 주소 참조

  ㅇ 32 비트 크기인 IPv4 주소와는 달리 128 비트 크기의 IP 주소 식별자


2. IPv6 주소 표기법IPv6 주소는 128 비트 크기여서 사람이 다루기 어려워 다음과 같은 표기법을 씀 

  ㅇ 16진수 표기 (8개 필드 x 16 비트)
     - 16진수 총 32개 중 4개 마다 콜론(:)으로 구분하고, 8개 묶음으로 표시
     - 例)  2004:2ba8:13aa:0011:0000:0000:0000:abaa
  
  ㅇ 주소의 축약 표기 방법
     - 앞쪽 `0`은 생략 가능
        . 例)  2004:2ba8:13aa:11:0:0:0:abaa
     - `0`이 연속할 경우에는 `::`으로 축약 가능
        . 例)  2004:2ba8:13aa:11:::abaa
        . 例)  0:0:0:0:0:0:0:1 -> ::1
        . 例)  0:0:0:0:0:0:0:0 -> ::
        . 단, `::` 표기는 IPv6 주소 내 한번 만 사용 가능

  ㅇ  상에서의 표기 방법 (URL)
     - 例) 3F2E::3DAB:1234 -> http://[3F2E::3DAB:1234]:80


3. IPv6 주소 중 `선두 상위 비트` (Scope 유효범위를 나타냄)

  ㅇ `0000 0000`  으로 시작  :  루프백 주소, 미지정 주소, IPv4 주소의 내장 등
     - 루프백 주소    : 앞 8 비트 `0`, 뒤 119 비트 `0`, 끝 1 비트 `1`    (::1/128)
     - 미지정 주소    : 아직 인터페이스IPv6 주소가 미할당. 모두 `0`   (::/128)
     - 내장 IPv4 주소 : 앞 96 비트가 모두 `0`, 뒤 32 비트IPv4 주소    (::/96)

  ㅇ `001` (2000:: ~ 3FFF:: /3)  :  전역 유니캐스트 주소 (Global Unicast Address)
     - 전세계에서 유일한 공인 IP 주소
     - (16진수로 2,3로 시작)

  ㅇ `1111 110` (FC00::/7)  :  유일 로컬 유니캐스트 주소 (Unique Local Unicast Address)
     - 사설 IP 주소에 해당
     - (16진수로 FC,FD로 시작)

  ㅇ `1111 1110 10` (FE80::/64)  :  링크 로컬 유니캐스트 주소 (Link Local Unicast Address)
     - 동일 네트워크 내부에서 만 유일하게 사용하는 IP 주소
     - (FE80으로 시작하고, 10 ~ 64 비트까지는 모두 0)

  ㅇ `1111 1111` (FF00::/8)  :  IPv6 멀티캐스트 주소
     - (무조건 FF로 시작)
  

4. IPv6 주소 구분주소 유형(단일주소,집단주소)에 따라 다음 3개로 구분
     -  Unicast Address      : 1 대 1    (특정 단일)
     -  Multicast Address    : 1 대 多   (특정 집단)
     -  Anycast Address      : 기타 방식 (근접 누구나)

  ㅇ ① 유니캐스트 (Unicast)      :  1 대 1                    ☞ IPv6 유니캐스트 주소 참조
     - (주요 구분)  주소의 유효범위(Scope) 즉, 라우팅 토폴로지에 따른 구분
        . Global Unicast Address       (2000:: ~ 3FFF:: /3)  => 전세계에서 유일함
        . Unique Local Unicast Address (FC00::/7)  => 특정 지역 내 만, 유일함 (사설IP)
        . Link Local Unicast Address   (FE80::/10) => 동일 링크(例, 이더넷) 내 만, 유일함

     - (기타 구분)  기타 목적의 유니캐스트 주소 구분
        . Loopback Address    (::1/128)  => 자기 자신으로의 시험용 IPv6 주소 
        . Unspecified Address (::/128)   => 아직 인터페이스IPv6 주소가 미할당
        . Embedded IPv4       (::/80)    => IPv4 주소가 내부에 삽입된 형태

     - (주소 형식)
       
        . Subnet Prefix
           .. Global Routing PrefixIANA,RIR,ISP 등이 계층적,순차적으로 할당 함 (n 비트)
           .. Subnet ID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할당 함                     (128 - n - m 비트)
        . Interface ID는 동일 링크 상에 있는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구별            (m 비트)

  ㅇ ② 애니캐스트(Anycast)는 위 유니캐스트와 동일 함           ☞ IPv6 애니캐스트 주소 참조
 
  ㅇ ③ 멀티캐스트 (Multicast)    :  1 대 多                    ☞ IPv6 멀티캐스트 주소 참조
      
     - 무조건 `0x FF`로 시작
        . 잘 알려진 멀티캐스트 주소(Well-known Multicast Address) : IANA에서 부여
        . 임시 멀티캐스트 주소(Temporary Multicast Address) : 필요시 관리자 임의 부여

     - 그룹 ID (Group ID) : 총 112 비트
        . 할당 크기가 총 112 비트이지만, 이중 32 비트 만 사용  ☞ 멀티캐스트 주소변환 참조


5. IPv6 노드별 가능한 주소 형태 (특징)

  ㅇ 동일 노드에서, 여러 IPv6 주소를 갖을 수 있음

  ㅇ 심지어, 동일 NIC(인터페이스) 상에서도, 2 이상의 주소 가능
     - 기본적으로,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를 위해,
        . 1개의 Link Local Address를 갖으나,
     - 부가적으로, 외부와의 교신을 위해,
        . 1개의 Global Unicast Address도 받을 수 있게됨
        . [참고] ☞ 주소 자동 설정 참조

  ㅇ 또한, 회선 이중화를 위해서도,
     - 단일 인터페이스에 2 이상의 IPv6 주소를 갖게하여, 장애시 대체 등 가능

IPv6 주소
   1. IPv6 주소   2. 유니캐스트 주소   3. 링크 로컬 주소   4. 주소 자동 설정   5. 애니캐스트   6. 인터페이스 ID   7. 멀티캐스트 주소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