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EG, JPG   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2025-09-14)

1. JPEG 

  ㅇ 한 프레임 내 인접 화소 간의 중복성 제거 방식을 이용하는 압축 기술


2. 어원 및 표준

  ㅇ JPEG 라는 명칭
     - 원래 표준화작업을 하는 그룹을 상징하는 이름
        . ISO/IEC JTC1/SG29 산하의 작업 그룹(WG 1)인데, 
        . CCITT(현재 ITU-T)와 합동으로 작업을 진행했기 때문에,
        . JPEG (합동사진전문가그룹)이라는 명칭이 붙여짐  
     - 한편, 
        . 작업그룹 WG 1은, 정지화상 부호화 (JPEG)
        . 작업그룹 WG 2~8은, 동영상음성 부호화를, (MPEG)

  ㅇ 표준 및 시기
     - JPEG  :  1992년 표준화 (ITU-T T.81, ISO 10918-1)
        . 주로, 이산여현변환(DCT) 및 호프만부호화(Huffman Coding) 기법을 기반으로 함
     - JPEG2000  :  2000년 표준화
        . 주로, 이산 웨이블릿 변환(DWT) 및 산술부호화 기법을 기반으로함


3. 특징멀티미디어 정지화상의 저장,전송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국제표준
     - 2진 화상을 제외한 그레이(gray) 레벨에서부터 컬러 화상에 이르는 거의 모든 종류에 대해,
     - 정지화상의 압축 (통상, 수십~수백 : 1 정도) 및 부호화를 위한 국제표준을 정의하고 있음

  ㅇ 꾸준한 기술 발전
     - JPEG는 정지화상의 우수한 압축율로도 각광을 받고 있지만,
     - 동화상의 컷트(Cut)나 연결 등의 영상편집의 압축 및 움직이는 JPEG 등 처럼,
     - 기술 발전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음

  ㅇ 사용자가 원하는 화질 수준으로 선택 설정 가능
     - 손실 부호화, 무손실 부호화 모두 가능 (선택)


4. 모드 및 방식 구분모드 구분
     - 순차적 모드 (필수)
        . 이미지 각 요소가 스캔되는 순서에 따라 부호화됨
           .. 손실 압축   : DCT 변환 + 양자화 + 엔트로피 부호화(호프만 부호화)
     - 점진적 모드
        . 이미지가 여러번 스캔되며 부호화
           .. 손실 압축   : DCT 변환 + 양자화 (기본 순차적 부호화와 동일하나 여러번 수행)
     - 무손실 모드
        . 공간 예측 방식 (인접 화소 간의 차이 정보를 이용한 예측부호화 방식, DPCM)
     - 계층적 모드
        . 다양한 환경 지원 (해상도가 다른 화면열 재생 등)

  ㅇ 방식 구분 (손실 부호화, DCT 변환 부호화 기반)
     - 기본 방식 (작은 영상, 저 해상도 빠른 속도 지원) (★)
        . 압축 부호화 방식     : 순차적 부호화
        . 엔트로프 부호화 방식 : 호프만 부호화 
        . (8 비트 화소)
     - 확장 방식 (큰 영상, 높은 해상도 지원)
        . 압축 부호화 방식     : 순차적 및 점진적 부호화 모두 사용
        . 엔트로프 부호화 방식 : 호프만 부호화 또는 산술부호화 선택 가능
        . (8 또는 16 비트 화소)


5. 기본 방식 JPEG 부호화 단계

  ㅇ 입력 영상 준비  :  (8 비트 화소 구성)
     - 통상, 8 비트/화소(픽셀) 사용 → 0~255 범위의 밝기값 표현 가능
        . 명암(밝기)에 더 민감하므로, 컬러 영상(RGB)은, 보통 YCbCr 색공간으로 변환 후 압축함
           .. Y : 밝기 성분 (Luminance), Cb,Cr : 색차 성분 (Chrominance)
  ㅇ 순차적 부호화  :  (위 → 아래, 왼쪽 → 오른쪽)
     - 영상을 8 x 8 화소 블록 단위로 분할.
        . 블록별로 왼쪽에서 오른쪽,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처리 →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현 단순화
  ㅇ 전처리 과정 (Shift & Leveling)
     - 화소값(0~255)을 [-128 ~ +127] 범위로 변환
        . DCT(이산 코사인 변환)에서 평균 성분(DC) 중심으로 대칭적진폭 표현이 가능해짐
  ㅇ DCT 변환
     - 8 x 8 블록을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
        . 왼쪽 상단(저주파 성분)은 영상의 윤곽,밝기 정보를, 
        . 오른쪽 하단(고주파 성분)은 세부,노이즈 정보를 담음
        . 사람이 고주파(세부)보다 저주파(대략적인 형태)에 민감하다는 특성을 이용
  ㅇ 양자화
     - DCT 계수 중 고주파 성분을 크게 양자화(=세밀한 값 손실) → 데이터 감소
        . 저주파 성분(Y 밝기)은 비교적 정밀하게 보존.
        . JPEG 압축률과 화질을 좌우하는 핵심 단계임
  ㅇ 계수 배열  :  (Zig-zag Scan)
     - 양자화된 8 x 8 계수를 지그재그 순서로 배열
        . 저주파 성분 → 고주파 성분 순으로 나열 → 뒤쪽에 0이 많이 몰리도록 함
  ㅇ 엔트로피 부호화
     - 계수열에서 반복되는 0 계수를 런 길이 부호화(RLE) 로 압축
        . 남은 계수는 허프만 부호화(Huffman Coding)로 최종 압축

이미지 파일 포멧
1. 디지털 이미지   2. 래스터 그래픽   3. 벡터 그래픽   4. BMP   5. GIF   6. JPEG   7. PNG   8. TIFF   9. 픽셀 값 표현  
정지영상 표준
1. JPEG   2. JPEG2000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