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nectionless   비 연결성, 비 연결형, 비 연결지향 | (2023-05-25) | 
1. 비 연결성 통신방식
  ㅇ 어떠한 사전 호출 / 연결 설정행위 없이도 두 호스트 시스템간에 트래픽을 교환할
     수 있는 방식
     - 즉, 전송 전에 미리 연결을 설정하지 않는 방식으로 호 설정을 위한 절차가 없음
2. 비 연결성 통신방식 특징
  ㅇ 호 설정 절차 필요 없음
     - 전송 전에 송수신 간에 미리 연결을 설정하지 않는 방식으로 호 설정을 위한 절차가 없음
  ㅇ 단순히 목적지를 향해 목적지 주소를 담은 패킷을 전송하고, 
     - 만일 패킷이 중도에 손실되는 경우에 수신측이 문제를 검출하여 송신측에 재전송을 요구
     - 여기서, 패킷은 데이터그램(Datagram)이라 불리는 독립적인 단위로 전송
  ㅇ 라우팅
     - 망 측에서는 패킷 내 목적지 주소로 패킷을 경로배정(라우팅) 만 하면 그 임무를 다하게 됨
   
3. N-ISDN 및 B-ISDN에서 연결성
  ㅇ N-ISDN(협대역 ISDN)을 바탕으로 하는 공중전기통신망에서는 연결성 서비스 만을 제공하지만,
  ㅇ B-ISDN(광대역 ISDN)에서는 연결성과 비연결성 서비스 모두를 제공 가능
4. 비 연결성 통신 프로토콜의 例)
  ㅇ TCP/IP 프로토콜 스택 중 망계층의 IP 프로토콜, 전송계층의 UDP 프로토콜
  ㅇ NetWare의 SPX/IPX 프로토콜 중 IPX 프로토콜
  ㅇ OSI의 CLNP(Connectionless Network Protocol)
  ※ 이들 대부분이 OSI 7계층모델에서 네트워크계층(3 layer)에 속함
  ※ [참고용어] ☞ Connection-oriented (연결지향성) 참조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Copyrightⓒ 차재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