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산 처리(컴퓨팅) 이란?
  ㅇ 분산 처리(컴퓨팅) 기술 (Distributed Computing/Processing)
     - 네트워크 상에 분산된 컴퓨팅 자원을 여러 다른 컴퓨팅 플랫폼에서 이용하는 기술
        . 중앙집중형과 달리, 네트워크 상에 여러 컴퓨팅 플랫폼에 프로세스를 분산시키고, 
        . 분산 프로세스를 논리적으로 마치 하나의 프로세스 처럼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
  ㅇ 분산 시스템 / 분산처리 시스템 / 분산컴퓨팅 시스템 (Distributed System)
     - 통상, 모든 사용자에게 전체 시스템이 하나인 것처럼 보이게 하나, 상호 분산 수행되는 시스템
        .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연결된 느슨하게 결합한 노드들의 집합체
  ㅇ 분산 컴퓨팅 환경(플랫폼,구조)                                   ☞ n-Tier 참조
     - 여러 컴퓨터가 상호 연관되어 분산처리시스템을 실현시키는 환경/구조
        . 원격시스템 간에 협동작업을 통해, 자원 공유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게됨
2. 분산 컴퓨팅의 특징
  ㅇ 독립성
  ㅇ 확장성
  ㅇ 병렬 처리
  ㅇ 데이터 분산 저장
3. 분산 컴퓨팅의 목적
  ㅇ 자원 공유
  ㅇ 부하 경감
  ㅇ 계산 속도 향상
  ㅇ 빅 데이터 처리
  ㅇ 신뢰성 제고 등
4. 분산 컴퓨팅의 주요 모델
  ㅇ 클라이언트/서버 형태
     - 많은 다른 클라이언트들의 동시적인 요구를, 단일한 서버가 처리
  ㅇ P2P(Peer to Peer) 형태
     - 주종의 관계가 아니고, 서로 대등한 위치에서 상호간에 차이가 없이 통신 및 처리 수행
  ㅇ 완전 분산 컴퓨팅
     - 수많은 컴퓨터 CPU 자원을 분산 활용
5. 분산 컴퓨팅의 추세
  ㅇ 1970년 이전 : 중앙 집중형 컴퓨팅 환경
  ㅇ 1970년대    : Socket Programming에 의한 네트워크 컴퓨팅
  ㅇ 1980년 이후 : 분산 컴퓨팅 환경
     - 1980년대  : RPC (Remote Procedure Call)
        . 원격 프로시져 간에 함수적 호출 구조
     - 1990년대  : ORB (CORBA 플랫폼), DCOM, RMI (Java 플랫폼)
        . 함수 호출이 아닌 오브젝트 자체를 원격으로 분산 배치시키는 모델
     - 2000년대  : 웹서비스 등
        . 웹 상에 있는 분산 자원들을 결합시키는 표준화된 분산 소프트웨어 콤포넌트 기술
6. 분산 컴퓨팅의 예시
  ㅇ 클라우드 컴퓨팅 : Amazon Web Services(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등
     - 사용자의 요청을 여러 데이터센터와 서버가 협력하여 처리
  ㅇ 블록체인
     - 분산 원장을 사용하면서, 모든 노드가 데이터를 공유, 트랜잭션의 무결성과 보안을 유지
 
  ㅇ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 Netflix 등
     - 서버 장애시에도 다른 서버가 서비스를 지속되도록 설계됨
7. 분산 컴퓨팅의 표준 및 구현 例
  ㅇ OSF/DCE
     - OSF(오픈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1990년에 그 내용을 결정한 바 있고,
     - 이를 DCE 이라는 명칭으로 공표
  ㅇ CORBA
  ㅇ MS社 .NET
  ㅇ 자바언어 관련 J2EE
  ㅇ 빅데이터 관련  :  하둡,스파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