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SPF/IS-IS]   Area (영역)
  ㅇ 규모가 큰 네트워크를 여러 독립적인 Area들로 나누어 관리
2. [OSPF/IS-IS]   영역(Area)화하는 이유
  ㅇ 라우터의 메모리 및 CPU 등의 자원 절약
     - 단일 Area 내에서 만 동작하는 내부 라우터는,
        . 다른 Area에 있는 라우터로부터 라우팅 갱신 정보를 받을 필요가 없음
     - 따라서, 라우팅 정보 교환 등에 따른 부하가 작게 만들 수 있음
     - 여기서, 각 라우터는 자기 소속 영역에 대한 완전한 링크상태 데이터베이스(LSDB)를 구축
  ㅇ 잘못된 라우팅 정보에 덜 취약한 구조로 만듬
     - 한 Area 내의 라우팅 정보 전달 트래픽의 타 Area 영향을 최소화시킴
  ㅇ 관리 단순화 등
3. [OSPF/IS-IS]   2-Level 계층구조화된 영역으로 구분 
  ㅇ AS 를 여러 Area 로 나누는 2-Level 계층적 라우팅을 함          ☞ 라우팅 계위 참조
     - OSPF는 Backbone Area라는 개념을 통해, 비로소 2-level 계층적 라우팅을 수행 가능
  ㅇ 만일, 큰 규모일 경우 (다중 영역의 존재), 그 중 하나는 백본 영역(Area 0)으로 설정됨
     - 모든 영역들은 항상 백본 영역과 물리적으로 연결됨
     - `백본 영역`은, `일반 영역`으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수집하고, 
        . 이를 분배시켜주어, 대규모 네트워크 운영이 가능       ☞ OSPF 라우터(종류) 참조
          ㅇ 만일, 규모가 작을 경우, 하나의 단일 영역 만으로도 사용 가능
4. [OSPF/IS-IS]   Area ID 및 경계
  ㅇ Area 경계의 주소(식별) : Area ID
     - 각 Area는 32 비트의 Area ID 라는 주소를 갖게됨 (0 ~ 4,294,967,295)
        . OSPF의 경우 Backbone Area 는 0 또는 0.0.0.0 이라는 특별한 주소를 갖음
           .. 단일 영역 만을 갖는 경우에는 Area 0 번을 갖게됨
  ㅇ Area 경계/출입 관문의 역할을 하는 장치 : 라우터 또는 라우터 인터페이스
     - OSPF  : 이때의 Area 경계는 라우터임. 즉, ABR(Area Border Router)
     - IS-IS : 이때의 Area 경계는 라우터의 인터페이스임.
  ㅇ 결국, 
     - 같은 Area 내에 있는 라우터들은, 동일한 LSD (Link State Database)를 갖게됨
        . 즉, 각 영역(Area) 별로 개별적인 동일 LSD (링크상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관리하게 됨
5. [OSPF/IS-IS]   Area 종류
  ㅇ Backbone Area (백본 영역) 또는 Distribution Area (분배 영역)
     - 각 Area는 백본 영역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속되어 있음
     - 이 영역을 통해 영역 간에, 라우팅 정보 및 트래픽을 주고받고, 분배,분산시킴
     - 만일, 백본 영역에 직접 접속되지 못한 경우이면, 
        . Virtual Link라는 특별한 링크를 거쳐 접속됨
  ㅇ Non-backbone Area (비 백본 영역) 또는 Standar Area (스텐더드 영역)
     - 백본 영역이 아닌 모든 다른 형태의 영역
        . 이곳의 라우터들은 내부 영역에 대해 완전한 토폴로지 정보를 갖지만,
        . 다른 영역 정보는 요약된 형태로 만 전달 받음
  ㅇ Transit Area 
     - Virtual Link에 의해 경유하는 Area를 말함
  ㅇ Stub Area
     - Backbone Area에 단 하나의 링크로만 접속되어 있는 고립된 영역
     
     - 구분
        . 일반 스터브 영역
        . Totally Stubby Area      : 완전 스터브 영역. 시스코 장비에 한함
        . NSSA(Not-So-Stubby-Area) : 변형된 특수한 스터브 영역
  ㅇ 만일, 규모가 작을 경우, 하나의 단일 영역 만으로도 사용 가능
4. [OSPF/IS-IS]   Area ID 및 경계
  ㅇ Area 경계의 주소(식별) : Area ID
     - 각 Area는 32 비트의 Area ID 라는 주소를 갖게됨 (0 ~ 4,294,967,295)
        . OSPF의 경우 Backbone Area 는 0 또는 0.0.0.0 이라는 특별한 주소를 갖음
           .. 단일 영역 만을 갖는 경우에는 Area 0 번을 갖게됨
  ㅇ Area 경계/출입 관문의 역할을 하는 장치 : 라우터 또는 라우터 인터페이스
     - OSPF  : 이때의 Area 경계는 라우터임. 즉, ABR(Area Border Router)
     - IS-IS : 이때의 Area 경계는 라우터의 인터페이스임.
  ㅇ 결국, 
     - 같은 Area 내에 있는 라우터들은, 동일한 LSD (Link State Database)를 갖게됨
        . 즉, 각 영역(Area) 별로 개별적인 동일 LSD (링크상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관리하게 됨
5. [OSPF/IS-IS]   Area 종류
  ㅇ Backbone Area (백본 영역) 또는 Distribution Area (분배 영역)
     - 각 Area는 백본 영역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속되어 있음
     - 이 영역을 통해 영역 간에, 라우팅 정보 및 트래픽을 주고받고, 분배,분산시킴
     - 만일, 백본 영역에 직접 접속되지 못한 경우이면, 
        . Virtual Link라는 특별한 링크를 거쳐 접속됨
  ㅇ Non-backbone Area (비 백본 영역) 또는 Standar Area (스텐더드 영역)
     - 백본 영역이 아닌 모든 다른 형태의 영역
        . 이곳의 라우터들은 내부 영역에 대해 완전한 토폴로지 정보를 갖지만,
        . 다른 영역 정보는 요약된 형태로 만 전달 받음
  ㅇ Transit Area 
     - Virtual Link에 의해 경유하는 Area를 말함
  ㅇ Stub Area
     - Backbone Area에 단 하나의 링크로만 접속되어 있는 고립된 영역
     
     - 구분
        . 일반 스터브 영역
        . Totally Stubby Area      : 완전 스터브 영역. 시스코 장비에 한함
        . NSSA(Not-So-Stubby-Area) : 변형된 특수한 스터브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