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AO/DI는 ISDN에서 원격접속을 통하여 TCP/IP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상시 접속 링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킹 서비스를 말한다.
2. 참고사항
  ㅇ 이는 ISDN의 신호정보채널인 D 채널을 통하여 인터넷망에 항상 접속(Always On)해 있다가,
     데이타량이 많아지면 B 또는 2B 채널로 64Kbps ~ 128Kbps까지 전송속도를 높이는 구조로 동작
  ※ 참고로 ISDN D Channel의 특징은,
     - 항상 연결되어 있으며
     - 패킷데이타를 전송하는 능력이 있으며
     - 신호정보를 제어하는 이상의 대역폭 여유가 있음
3. 출현
  ㅇ 1996.9월 AO/DI 개념이 제안됨
  ㅇ 1997.10월 VIA의 RFC 001에서 VO/DI 서비스 사양 제시
4. 특징
  ㅇ 사용자의 경우
     - 접속이 필요할 때 마다 서비스망으로 다이얼을 할 필요가 없음
  ㅇ ISP의 경우
     - 메일도착 통지등 사용자에게 언제든지 통지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 제공
  ㅇ 시내전화사업자의 경우
     - 회선교환 자원이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됨
5. AO/DI 구현 전제조건
  ㅇ ISDN 교환망 측
     - D 채널 데이타 패킷 서비스 제공
     - Packet Handler (X.25 패킷 호 처리 기능)
     - AO/DI 가입자의 X.25 패킷 데이타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
  ㅇ ISP 측
     - AO/DI를 지원하는 RAS 장비
       . X.25 링크 수용 (PRI의 B 채널, X.75 T1/PRI)
       . ISDN PRI 수용
       . PPP, MLPPP, BAP/BACP 기능
  ㅇ 사용자단말기 측
     - D 채널의 X.25 데이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기능
     - AO/DI를 지원하는 S/W
       . X.25 Protocol 처리 가능
       . PPP over X.25, MLPPP, BAP/BACP 기능
6. 이용자 서비스속도
  ㅇ 평상시, D 채널 사용시
     - 9.6 Kbps (X.25 Parameter 설정시 9.6Kbps로 설정 권고)
  ㅇ 1개의 B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 64Kbps (이 경우, D 채널은 Idle 상태 유지)
  ㅇ 2개의 B 채널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
     - 128Kbps (이 경우, D 채널은 Idle 상태를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