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산 증폭기 (Summing Amplifier), 가중 가산기 (Weighted Summer)
  ㅇ 각 입력에 대해 가중치 합을 만들어내는 회로
  ㅇ 주로, 연산 증폭기(Op Amp)를 이용하여 구현
2. 가산 증폭기의 회로 구성  (Op Amp 반전증폭기에 의한 例)
  ㅇ 각 입력 전압에 귀환 저항(R) 및 각 입력 저항(R)의 比를 곱한 값들을 더함
       3. 가산 증폭기의 응용 구분
  ㅇ (가중치 없는 가산기)  R1 = R2 = R3 = ... = Rf
     - 입력들의 단순 합을 출력하는 가산기 역할 : vo = - (v1 + v2 + v3 + ...)
  ㅇ (가중치 있는 가산기 : 가중 합산기)  
     - 입력의 가중치 합을 출력하는 가산기 역할 : vo = - (Rf/R1 v + Rf/R2 v + Rf/R3 v)
  ㅇ (평균기)  R = R = R = 3R
     - 입력의 평균을 출력하는 평균기 역할 : vo = - 1/3 (v+v+v)
  ※ 이때의 모든 구성에서, 
     - 극성이 반전됨 (parity inverting)
        . 입력들의 합 결과가 음(-)의 값으로 나옴
     - 궤환 저항(Rf) 값을 입력 저항들 보다 크게하면, 
        . 증폭기 동작도 가능
3. 가산 증폭기의 응용 구분
  ㅇ (가중치 없는 가산기)  R1 = R2 = R3 = ... = Rf
     - 입력들의 단순 합을 출력하는 가산기 역할 : vo = - (v1 + v2 + v3 + ...)
  ㅇ (가중치 있는 가산기 : 가중 합산기)  
     - 입력의 가중치 합을 출력하는 가산기 역할 : vo = - (Rf/R1 v + Rf/R2 v + Rf/R3 v)
  ㅇ (평균기)  R = R = R = 3R
     - 입력의 평균을 출력하는 평균기 역할 : vo = - 1/3 (v+v+v)
  ※ 이때의 모든 구성에서, 
     - 극성이 반전됨 (parity inverting)
        . 입력들의 합 결과가 음(-)의 값으로 나옴
     - 궤환 저항(Rf) 값을 입력 저항들 보다 크게하면, 
        . 증폭기 동작도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