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바이어스 회로
  ㅇ 트랜지스터의 동작점(Q 점)을 고정시키기 위한, 회로 구성
2. 주요 바이어스 회로 형태
  ㅇ 고정 바이어스 (Fixed Bias)
     - 미리 고정된(Fixed) 바이어스 전원으로 직류 전류(전압)을 가해주는 방식
        - 실제적으로는 주 전원에 저항을 통해 바이어스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함
  ㅇ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 (Base Bias)
     - 베이스 전류를 일정하게 고정 유지
     - 실제적으로는 주 전원에 저항을 통해 바이어스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함
  ㅇ 베이스 바이어스 회로 (Base Bias)
     - 베이스 전류를 일정하게 고정 유지
        - 주요 용도 : 스위칭
        . 불안정한 Q 점을 갖으므로, 증폭기로는 이용되지 않음
        . 통상적으로, 포화영역과 차단영역에서 만 동작되도록 설계되어짐
           .. 즉, 포화영역과 차단영역 사이를 스위칭함
  ㅇ 이미터 바이어스 회로 (Emitter Bias)
     - 이미터 전류를 일정하게 고정 유지 (RE가 삽입됨)
     - 주요 용도 : 스위칭
        . 불안정한 Q 점을 갖으므로, 증폭기로는 이용되지 않음
        . 통상적으로, 포화영역과 차단영역에서 만 동작되도록 설계되어짐
           .. 즉, 포화영역과 차단영역 사이를 스위칭함
  ㅇ 이미터 바이어스 회로 (Emitter Bias)
     - 이미터 전류를 일정하게 고정 유지 (RE가 삽입됨)
      . Q 점이 트랜지스터 전류이득 변화에 영향을 받지않도록 함
        . IC,VCE 값이 β 값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베타 독립`(beta-independent)라고도 함
     - 양전원 이미터 바이어스 회로 (Two-supply Emitter Bias,TSEB)
        . 2개의 전원으로 컬렉터,이미터에 각각 바이어스를 가해주는 방식
        . Q 점이 트랜지스터 전류이득 변화에 영향을 받지않도록 함
        . IC,VCE 값이 β 값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베타 독립`(beta-independent)라고도 함
     - 양전원 이미터 바이어스 회로 (Two-supply Emitter Bias,TSEB)
        . 2개의 전원으로 컬렉터,이미터에 각각 바이어스를 가해주는 방식 
        - 전압분배 바이어스 회로 (VDB,Voltage Divider Bias)
        . 베이스 회로가 두 저항(R1,R2)에 의해 전압 분배됨
           ..  VBB = (R2/R1+R2) VCC
     - 전압분배 바이어스 회로 (VDB,Voltage Divider Bias)
        . 베이스 회로가 두 저항(R1,R2)에 의해 전압 분배됨
           ..  VBB = (R2/R1+R2) VCC
         . 증폭기에 폭넓게 사용되는 바이어스 회로
  ㅇ 자기 바이어스 회로 (Self-Bias Circuit)
     - 별도의 전원을 쓰지 않고, 회로내 저항을 통한 부귀환 동작으로 바이어스를 제공
        . 출력 신호의 전압,전류가 변동하면, 이에 반하여 바이어스가 걸리도록 부귀환됨
3. 바이어스 회로 한계
  ㅇ 전원 전압 변동, 온도 변동에 따라 => 바이어스 전류도 변동
  ㅇ 따라서 주변여건에따라, 어떤 바이어스 방식이 다른 바이어스 방식 보다 더 선호될 수 있음
        . 증폭기에 폭넓게 사용되는 바이어스 회로
  ㅇ 자기 바이어스 회로 (Self-Bias Circuit)
     - 별도의 전원을 쓰지 않고, 회로내 저항을 통한 부귀환 동작으로 바이어스를 제공
        . 출력 신호의 전압,전류가 변동하면, 이에 반하여 바이어스가 걸리도록 부귀환됨
3. 바이어스 회로 한계
  ㅇ 전원 전압 변동, 온도 변동에 따라 => 바이어스 전류도 변동
  ㅇ 따라서 주변여건에따라, 어떤 바이어스 방식이 다른 바이어스 방식 보다 더 선호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