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ing 명령어
  ㅇ TCP/IP 환경에서, 상대쪽 호스트의 작동여부 및 응답시간을 측정하는 유틸리티 프로그램
     - ICMP 프로토콜을 기본으로 사용
2. ping 동작 개요
  ㅇ ICMP 질의메세지인 Echo Request 를 특정 호스트에 송신하고, 
     - 이의 응답인 ICMP Echo Reply 를 수신함으로써,
     - RTT (IP 패킷 왕복 시간 : ms) 및 TTL (IP 패킷 생존 수명) 값을 알아냄
  ㅇ 이때 필요한 주요 관리 파라미터
     - 식별자 필드 : 단일 질의에 대한 식별(세션 식별 번호)을 위한 필드  ☞ Query Identifier
     - 순서 번호 : 0 부터 시작하여, ICMP 메세지 송출 마다 1씩 증가시킴 
     - 왕복 시간 : 데이터 섹션에 송신 시간을 삽입, 수신시 도착 시간에서 송신 시간을 뺌
        . 송신측에서 ICMP Echo Request에 일단 데이터를 포함시키면, 
        . 수신측은 ICMP Echo Reply에 이 데이터를 반드시 포함시켜야 함 
  ㅇ 보안 또는 방화벽에 의한 의도적 차단
     - ping에 의하여 목적지 도달불가(Destination Unreachable)로 나타나더라도,
     - 보안 또는 방화벽에 의하여 의도적 차단일 수 있음
3. ping 명령어 옵션 例) (시스템 마다 옵션이 약간씩 다름)
  ㅇ n 갯수 : `요청 개수` 지정함
  ㅇ l 크기 : `패킷 크기` 지정함
  ㅇ i TTL  : `중간 라우터 경유 수` 지정함 (중간에 라우터를 몇 개 경유할지를 지정)
  ㅇ f      : `IP 조각화 안함` (디폴트는 IP 조각화 함)
  ㅇ t 횟수 : 이 옵션 없으면, 사용자가 중지 요청(Ctrl+C 또는 Ctrl+Break)할 때까지 계속 ping 함
     - Ctrl+C (아예 중지) 또는 Ctrl+Break (일시 중지)
     - 중지 요청까지의, 통계 보여줌 (최대,최소,평균 왕복 시간, 패킷 손실 수 등)
  ㅇ a      : 숫자 형태의 IP주소 대신에 호스트 이름 보여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