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엔트로피 (Entropy, S) 이란?
  ㅇ [일반]
     - 무질서(Disorder) 또는 불확실성(Uncertainty)에 대한 량/값/척도
  ㅇ [통신이론/정보이론]
     - 정보원의 평균 정보량 (평균적 불확실량)  ☞ 엔트로피 참조
  ㅇ [열역학]  
     - `무질서의 척도` 
        . 완전한 질서 상태에서는, 엔트로피 S = 0
           .. 무질서할수록 엔트로피가 높음
     - 또는, `열의 이용가능성의 척도`
        . 완전한 평형 상태에서는, 엔트로피 S = (최대)
           .. 닫힌계는, 모든 자발적 비가역적 과정들이,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 엔트로피를 증가시켜, 더이상 온도에 따른 방향성 없이, 평형 상태에서 최대값을 가짐
     * 1865년, 클라우지우스(1822~1888, 독일 이론물리학자)가, 열역학 제2법칙을 제안하고, 
        . 이를 통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엔트로피 라는 새로운 물리량을 제안하게 됨
     - 특징 : 열역학적 경로에는 무관 함
        . 물질의 열역학적 상태 만을 나타내는 상태함수 중 하나
2. [열역학]  엔트로피의 의미
  ㅇ ①  계의 무질서의 척도
     - 무질서(disorder)할수록, 무작위성(randomness)이 커질수록, 에너지 상태 분산이 다양해질수록,
       엔트로피가 증가함
     * 열역학 제2법칙 : 자연 현상은 항상 엔트로피 증가 방향으로 진행
  ㅇ ②  열의 이용가능성의 척도
     - 입출입하는 열량의 이용가치를 나타내는 양(量)
        . 열의 입출입에 따라 수반되는 변화를 나타냄
     * 거시적 성질(온도,부피,압력 등)이 변화하면, 엔트로피도 변하게 됨
3. [열역학]  엔트로피의 정의  :  확률 관점  (통계 역학)
  ※ 엔트로피와 확률과의 관계로써 정의함 : 볼츠만 (1877년)                 ☞ 볼츠만 분포 참조
     - `분자 수준의 엔트로피`와 `거시적 수준의 열역학적 확률` 사이의 함수 관계를 보임
  ㅇ (표현식)  볼츠만 관계식
     - 주어진 열역학적 상태에 대한 엔트로피가,
     - 미시적인 상태의 수(분자들의 배열 방법의 수)의 로그(log)에 비례함을 보임
        [# S = k \ln W #]
        . S : 배열 엔트로피 (Configurational Entropy)
        . k : 볼츠만 상수
        . ln : 로그함수
        . W : 계의 미시적인 상태의 수 (입자 배열 방법의 수)
  ※ (의미)  무질서의 척도
     - 계가 갖을 수 있는 미시적인 배열(미시 상태)들의 수의 크기
        . 계의 유효한 위치 또는 에너지 준위들의 배열 방법의 수를 나타내는 상태함수
     * 미시 상태 (microstate)
       - 미시 입자의 위치,속도,운동량,에너지 등으로 고유하게 나타낼 수 있는 상세 물리 정보
       - 하나의 거시 상태(온도,압력,부피 등)에는 매우 많은 미시 상태가 대응됨
  ※ 자연 현상은,
     - 무질서하게 되는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일방성을 갖음
        . 여기서, 엔트로피는 무질서의 척도 임
4. [열역학]  엔트로피의 정의  :  온도, 열량 관점
  ※ `단위 온도 당 열의 입출입 량`으로써 정의함 : 클라우지우스 (1865년)
     - 열량을 온도로 나눔으로써 정의함
  ㅇ (표현식)
      [# ΔS = \frac{δQ}{T} #]
  [J/K]
     - S : 엔트로피 변화량
        . (어떤 계에 열이 들어오는 경우, 증가하는 엔트로피 ΔS)
     - δQ : 계에 흡수되거나 방출된 열량 (열 전달량) [J]
        . (열,일로써 전달되는 에너지)
     - T : 절대온도  [K]
  ㅇ (의미)  열의 입출입에 따라 수반되는 변화를 나타냄
  ※ 자연 현상은, 
     -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전달되는, 한쪽 방향으로 진행되는 일방성을 갖음   ☞ 열역학 2법칙
     - 즉, 엔트로피는, 자연계의 비가역적 변화를 설명하는 핵심 개념 임
5. [열역학]  엔트로피의 변화
  ㅇ (열적 무질서 변화)  열을 가하거나 빼았을 때의 엔트로피 변화
       [# ΔS = \int^{T_2}_{T_1} \frac{CdT}{T} = C \int^{T_2}_{T_1} \frac{dT}{T}
              = C \ln \frac{T_2}{T_1} #]
     - (C : 계의 열용량, 관심영역에서 일정함)
     - (의미) 열적 무질서(thermal disorder)의 증가/감소
  ㅇ (위치 무질서 변화)  등온 팽창,수축할 때의 엔트로피 변화
       [# ΔS = nR \ln \frac{V_2}{V_1} = nR \ln \frac{P_2}{P_1} #]
     - (의미) 위치 무질서(positional disorder)의 증가/감소
6. [열역학]  엔트로피와 방향성  :  (자발적 과정의 방향성)
  ㅇ 자발적 흡열 과정
     - 계 내부에서 엔트로피의 증가가 나타남
     - 계 주위에서 엔트로피의 감소가 나타남
     * 例) 0℃ 이상의 온도에서, 얼음이 자발적으로 녹으며, 흡열 현상이 나타남
  ㅇ 자발적 발열 과정
     - 계 내부에서 엔트로피의 감소가 나타남
     - 계 주위에서 엔트로피의 증가가 나타남
     * 例) 0℃ 이하의 온도에서, 물은 자발적으로 얼으며, 발열 현상이 나타남
  ※ [참고] ☞ 깁스 자유 에너지 참조
     - (특히, 자발성의 온도 의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