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료형 (Data Type)
ㅇ 시스템/컴파일러/사람 등이 인식 가능한 자료 형태
- 例) 날짜형,숫자형,문자열형 등
2. 자료형 구성
ㅇ `값의 집합/범위/크기` 및 이 값들에 적용가능한 `연산`들에 따라 다르게 규정됨
- 例) 정수형 자료에 실수형 자료를 적용하거나,
문자열형 자료에 사칙 연산을 적용하면 타입 오류 등이 나타나는 등
- 例) 자바 언어의 int 형은,
. (-231 ~ 231-1) 사이의 정수 집합이며,
. (+,*,-,/,%,<,> 등)의 연산자들을 사용할 수 있음
ㅇ 변수들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크기 및 연산 가능 형태/규칙들
3. 자료형 구분
ㅇ 사전 정의형 자료형
- 기본 자료형 (Primitive Data Type),내장 자료형 (Built-in Data Type)
. 시스템/컴파일러가 제공하는 데이터형
.. 즉, 시스템/컴파일러에 의해서 바로 해석될 수 있는 자료형
. 例) `정수`,`실수`,`논리` 등 단순한 구조의 자료형
- 유도 자료형 (Derived Data Type) (때론, 파생 자료형/사용자 정의 자료형 라고도 함)
. 기본 자료형이나 다른 데이터형으로부터 또는 프로그래머에 의해 유도되는 자료형
. 例) `문자열`, `배열`, `포인터`, `구조체`, `공용체`, `열거형` 등
- 참조 자료형 (Reference Data Type) <= 객체지향 언어에서 도입됨
. 변수의 선언과 메모리 생성이 분리되는 데이터형
. 그 종류로는, `배열 참조형, 열거 참조형, 클래스 참조형, 인터페이스 참조형` 등이 있음
.. `배열 참조형` : 배열 객체를 참조하기 위한 자료형
.. `클래스 참조형` : 클래스 객체를 참조하기 위한 자료형
.. `인터페이스 참조형` : 자바 언어에서 클래스 외에 인터페이스라는 것을 제공
하여주는데, 이러한 인터페이스 객체를 참조하기 위한
자료형
. 특징
.. 이들을 조작할 때는 사실 해당 데이터 자체를 직접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 그에 대한 참조를 조작하는 것임
ㅇ 사용자 정의 자료형 (User-Defined Data Type)
- `객체지향 언어에서의 클래스,인터페이스`등과 같이 프로그래머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는 특수한 형태의 자료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