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양자화` 이란?
ㅇ [물리]
- 연속적이지 않고 이산적인 물리량으로 만드는 것 (例, 양자, 에너지 양자화 등)
ㅇ [통신/신호처리]
- 아날로그 신호의 표본화된 진폭치로부터 특정 이산치(대표치) 만으로 바꾸는 과정
2. [통신/신호처리] 양자화 의미
ㅇ 양자화 변환 조작의 의미
- PCM 등에서 음성 신호 등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 어떤 아날로그 신호의 진폭들을 대표값(이산값)으로 나타내는 조작
ㅇ 표본화 및 양자화 차이
- 표본화 : 시간축을 따라 이산값으로 변환하는 과정
- 양자화 : 진폭축을 따라 이산값으로 변환하는 과정
ㅇ 대표값으로 치환
- 아날로그 신호의 진폭이 ±V의 범위인 경우 이 신호의 표본치는 ±V의 범위에서
연속적인 값을 취하는데, 이 범위를 ΔV 마다 구분지어서,
- 하나의 양자화 스텝 범위내의 표본치를 1개의 대표값으로 나타내는 조작
3. [통신/신호처리] 양자화 목표/의의
ㅇ 근사화 → 입력신호를 유한개수의 값으로 근사화(또는,압축)하는 과정
- 근사화가 아니고 완벽하게 표현하려면 무한개의 비트 수가 필요하나,
- 근사화의 정확도를 떨어뜨리게되면 표현되는 비트 수의 경감을 얻을 수 있음
ㅇ 데이터 압축 → 가급적 적은 량으로 정확하게 데이터를 부호화할 수 있도록 함
- 입력 아날로그 신호의 개별 값들의 수를 양자화를 통해 훨씬 적은 수의 대표값
들로 줄일 수 있음
- 연속 진폭 값을 한정된 비트 수의 코드(부호)로 변환할 수 있게함
4. [통신/신호처리] 양자화 종류
ㅇ 진폭 양자화 방법에 따라
- 선형 양자화(Linear Quantizing), 균등 양자화(Uniform Quantizing)
. 양자화 계단폭이 입력 신호 레벨과 관계없이 일정.
. 스튜디오급(전문가용) 디지털 비디오 장비 등에 사용됨.
- 비선형 양자화(Non-linear Quantizing, Logarithmic Quantizing), 비균일 양자화
. 입력 신호 레벨이 작을때는 양자화 계단 간격을 작게, 클때는 양자화 계단 간격을
크게하는 방식
ㅇ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가에 따라
- 적응형 양자화 (Adaptive Quantizing)
. 입력 신호 레벨에 따라 양자화 계단의 최대, 최소 값이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방식
으로 ADPCM 등에 사용됨
- 고정형 양자화 (Fixed Quantizing)
. 양자화 계단이 시간적으로 변화없이 고정적인 방식
ㅇ 대표값을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
- 스칼라 양자화
. 표본을 하나의 대표값으로 양자화
- 벡터 양자화
. 일련의 표본들을 특성화시킨 여러 대표값(n-tuple)으로 양자화
5. [통신/신호처리] 양자화 관련 참고용어
ㅇ 양자화 관련 주요 용어 ☞ 양자화스텝, 양자화레벨 수, 양자화 비트 수(양자화 분해능)
ㅇ 기타 참고용어 ☞ 양자화잡음, 음성부호화, ADC(A/D 변환), 인코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