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브로드캐스트(방송) 이란?
ㅇ [일반] 불특정 다수에게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는 형태
ㅇ [방송] 전파 또는 전송매체를 통해 일반대중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
ㅇ [네트워크기술] 단일 노드로부터 해당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에게 소식을 전하는 것
2. [ 네트워크기술 분야 ]
ㅇ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비교
- Unicast Address : 1 대 1 (특정 단일)
- Multicast Address : 1 대 多 (특정 집단)
- Broadcast Address : 1 대 多 (불특정 다수)
ㅇ `브로드캐스트 주소`의 例
- Ethernet 네트워크에서, ☞ 멀티캐스트, 멀티캐스트 주소 참조
. 48 비트짜리 목적지 주소의 비트가 모두 1 인 경우(0x FF-FF-FF-FF-FF-FF)에는
현재의 패킷이 브로드캐스트 임을 알리는 것
ㅇ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例
- ARP의 Request 메세지, NetBIOS의 Name Request,
각종 라우팅용 광고성(Advertisement) 패킷 등
3. [ 일반 방송 분야 ]
ㅇ 개요
- 방송은 전파 또는 전송매체를 통해 일반대중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 공익성 추구.
- [방송법 제2조]
`방송은 방송프로그램을 기획, 편성 또는 제작하여 이를 공중에게 전기통신설비에
의해 송신하는 것`
ㅇ 방송 및 방송사업의 종류 [방송법 제2조 참고]
- 방송 구분
. 텔레비전 방송, 라디오 방송, 데이터 방송, 이동멀티미디어 방송
- 방송 사업 구분
. 지상파방송사업,종합유선방송사업,위성방송사업,방송채널사용사업
. 방송을 제공하고 사업을 운용 (매체 종류에 따라 구분)
- 방송관련사업 구분
. 중계유선방송,음악유선방송,전광판방송,전송망 사업
. 방송사업은 아니면서도 콘텐츠 제공을 근간으로하는 사업
- 기타 구분
.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 사업법]에 의한 IPTV
ㅇ 방송의 경향
- 고화질화 (HDTV,UHDTV 등), 다기능化 (스마트TV 등), 프로그램전문편성化,
- 다매체化 (지상/위성/CATV,인터넷 등), 다채널化,
- 쌍방향성化 (일대다에서 1대1, 수동 및 능동의 혼재 등),
- 통방 융합 등
ㅇ 국내 방송 서비스의 일반적 구분
- 지상파 방송 : 라디오 (중파 AM 방송, 단파 방송, FM 방송), TV
- 유선 방송 : 종합유선방송, 중계유선방송
- 위성 방송
- 이동 방송 : 지상 DMB, 위성 DMB 등
- 인터넷 : IPTV, 인터넷방송, VOD 등
- 프로그램제작공급 : 방송채널사용사업, 프로그램제작업
- 기타 방송 관련 서비스
ㅇ TV 방송 (전송방식) 표준
- 아날로그 TV 방송 방식
. NTSC(국내,북미), PAL(유럽), SECAM(유럽)
- 디지털 TV 방송의 주요 표준방식들
. 지상파 TV : DVB-T (COFDM), ATSC (8-VSB), ISDB-T (BST-OFDM) 등
. 케이블 TV : DVB-C, ATSC (16-VSB), OpenCable, ISDB-C 등
. 위성 TV : DVB-S, ISDB-S 등
* 디지털 TV 방송의 국내 표준방식
. D-TV : 지상파 TV => ATSC, 위성방송 => DVB-S, 케이블 TV => OpenCable
. 데이터방송 : 지상파 TV => ACAP, 위성방송 => DVB-MHP, 케이블 TV => OCAP
- 주요 표준화기관
. 북미 : 지상파 => ATSC, CATV => SCTE
. 국내 : TTA
ㅇ TV방송 전송용 인터페이스
- 근거리용 : SDI, HD-SDI (SMPTE 292M), SDTI, IEEE 1394 등
- 원거리용 : SMPTE 310, DVB ASI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