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억장치 용어
ㅇ 메모리 (기억장치)
-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 및 유지하는 장치
. CPU와 주변장치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조정하는 핵심 구성요소
ㅇ 메모리 단위
- 저장 단위 : 메모리 셀 (Memory Cell) (메모리 칩 내부의 단위 1 비트를 저장하는 소자)
- 접근/저장 단위
. 바이트
.. CPU가 메모리에 접근/저장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
. 워드 (메모리 입출력 단위) : 한번에 읽고쓸수있는 비트 그룹
.. 32 비트 CPU : 4 바이트, 64 비트 CPU : 8 바이트
. 블록
.. 여러 워드 또는 바이트로 구성된 전송 단위
.. 캐시 메모리와 주기억장치 간 데이터 교환 시 사용
ㅇ 메모리 동작 구분
- 읽기 동작 (read operation) : 특정 워드를 메모리로부터 가져오는(fectch) 동작
. 주소 지정 → 읽기 제어신호 활성화 → 데이터버스에 데이터 올려줌
- 쓰기 동작 (write operation) : 새로운 워드를 특정 위치에 저장(대체)하는 동작
. 주소 지정 → 데이터버스에 데이터 넣어둠 → 쓰기 제어신호 활성화
ㅇ 메모리와 주변장치와의 인터페이스
- 입력,출력 데이터 버스, 주소 버스, 읽기/쓰기 제어 신호 등에 의함
ㅇ 메모리 주소 (Memory Address)
- 메모리 내 특정 워드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수치 (식별 번호)
- 주소 선 개수에 따른 주소 공간 : 주소선 n개 → 2n개의 메모리 위치 지정 가능
ㅇ 메모리 저장 용량/밀도 (Memory Capacity)
- 메모리 칩 하나에서 저장할 수 있는 총 비트 수
ㅇ 메모리 용량 단위 : K(Kilo, 210), M(Mega, 220) , G(Giga, 230)
- 1 KB = 103 B = 1,000 B ≒ 1024 B = 210 Bytes
- 1 MB = 106 B = 1,000,000 B ≒ 1,048,576 B = 220 Bytes
- 1 GB = 109 B = 1,000,000,000 B ≒ 1,073,741,824 B = 230 Bytes
* 例) 1 K x 16 => 1 K(10 비트짜리) 주소(어드레스) 선을 갖으며, 각 워드는 16 비트로 됨
ㅇ 메모리 속도 판단 지표
- 접근 시간 (Access Time) : 주소 제공 후 데이터가 출력되는 시간까지 걸리는 시간
- 사이클 시간 (Cycle Time) : 연속된 접근(읽기/쓰기)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 간격
- 대역폭 (Bandwidth) : 단위 시간당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량
ㅇ 메모리 접근방식의 구분
- 단일 포트 : 주소버스,데이터버스가 1개씩 있어서, 한순간에 한가지 동작(읽기/쓰기) 만 가능
- 이중 포트 : 서로다른 두 주소에서 동시에 서로달리 읽거나 쓰기 등이 가능
. 유의사항 : 같은 주소에 동시에 쓰면서 읽으면 충돌 발생
. 例) 비디오램 (VRAM) : [참고] ☞ 프레임 버퍼 메모리 참조
.. 읽기,쓰기 포트가 따로 있어서, CPU가 쓰는 동안에도,
.. 디스플레이 제어장치가 읽어가며, 화면 표시 속도를 빠르게 함
ㅇ 메모리 뱅크 (Memory Bank)
- 기억장치를 분할시켜, 각각 독립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논리적으로 구성되는 단위
ㅇ 메모리 상주 (Memory Resident)
- 컴퓨터 프로그램,데이터가 메모리(RAM)에 상시 유지되는 상태
- 메모리 상주 프로그램
. 종료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실행되는 형태
. 例) 시스템 감시 프로그램, 백그라운드 서비스, 장치 드라이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