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농도 (Concentration)
ㅇ 일반적으로, `단위 체적/질량 당 포함된 입자 수[개/㎥] 또는 질량[g/㎥] 등`의 함유량
- 특정 물질(성분)이 포함되어있는 정도
. 주로, 농도(Concentration) 또는 수 밀도(Number Density)라고 말함
- 일반적으로, 빽빽하게 들어차있는 정도
. 때론, 밀도(Density) 라고도하나, 밀도는 부피 당 질량 비인 질량 밀도를 주로 말함
ㅇ 캐리어 농도 (Carrier Concentration)
- 반도체에서 전하운반체인 전자 및 정공의 농도
ㅇ 화학 농도 (Chemical Concentration)
- 화합물 용액 중 용질의 함량
2. 화학 농도 (Chemical Concentration)
ㅇ 화합물 용액 중 용질의 함량
- 주어진 부피,질량에서 얼마만큼의 성분이 포함되어있는가를 나타냄
ㅇ 화학 농도의 여러 표현
- 몰 농도 (Molar Concentration) : M
. M = (용질의 몰수) / (용액의 부피) [mol/㎤] [mol/L] (L: liter)
- 몰랄 농도 (Molality) : m
. m = (용질 몰수) / (용액 kg수) [mol/kg]
- 노말 농도 (Normality) : N
. N = (용질의 당량 수) / (용액의 부피) [eq/㎤]
.. 당량(equivalent) : 물질의 화학반응에 기초한 물질의 량,
(화학반응에서 물질의 양적 관계를 근거로 각 원소 또는
화합물마다 할당된 일정 물질량)
.. 당량점(equivalence point) : 두 성분들 사이에 적정 화학반응이 종결되는 지점
- 포말 농도 (Formality) : F
. F = (용질 g 화학식량 수) / (용액의 부피) [g 화학식량/㎤]
※ 일반적으로, 화학식 농도 표기는,
- 화학식에 대괄호 `[ ]`로 묶어서 표현
. 例) [K+] = 0.1 M 은 전체 용액 중 K+ 이온의 농도가 리터 당 0.1 mol
3. 화학 농도에서 수학적인 분율(Fraction) 표현 방식
※ 분율(Fraction) : 전체 시료 중에 함유된 분석 대상의 성분 비율
- (갯수비,몰수비,무게비,부피비,무게-부피비 등 모두 가능)
. 무게 - 무게 수 비율 (weight - to - weight, w/w 분율)
. 부피 - 부피 수 비율 (volume - to - volume, v/v 분율)
. 무게 - 부피 수 비율 (weight - to - volume, w/v 분율)
ㅇ 몰 분율 (Mole Fraction) : Xi
- Xi = (어떤 성분의 몰수) / (각 성분들의 몰수의 합)
. 용질의 몰분율 = (용질의 몰수) / (용질의 몰수 + 용매의 몰수)
. 용매의 몰분율 = (용매의 몰수) / (용질의 몰수 + 용매의 몰수)
ㅇ 백분율 (percentage, 百分率, parts per hundred) : %
- 퍼센트 농도 (Percent Concentration) wt%, vol%
. 질량비 or 무게 백분율 (Weight Percent) wt% = (용질 질량)/(용액 질량) x 100
= (용질 질량)/(용질 + 용매의 질량) x 100
. 부피비 or 부피 백분율 (Volume Percent) vol% = (용질 부피)/(용액 부피) x 100
= (용질 부피)/(용질 + 용매의 부피) x 100
ㅇ 백만분율 (parts per million) : ppm
- 例) 1 ppm = 1 ㎍/mL = 1 ㎎/L
ㅇ 십억분율 (parts per billion) : ppb
- 例) 1 ppb = 1 ng/mL = 1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