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 이란?
  ㅇ 공간적으로 충분히 이격된 2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는 기법
     - 송수신 기지국에 여러 다중 안테나를 두고, 
     - 서로 다른 무선 채널을 통과한 신호를 수신하고, 
     - 이중에 페이딩 영향이 적은 것을 취사 선택하거나 합성 수신
  ※ (용어명칭) 최근에는, MIMO 적극 도입으로, 
     - 안테나 다이버시티 로써 동등하게 호칭되곤 함
2. 공간 다이버시티의 원리
  ㅇ 공간 다이버시티 구현 例)
     - 2개 수신 안테나를 공간 상에 약 10~20λ 이격시켜,
     - 이격된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이 서로 다른 위상 변화를 겪기 때문에,
     - 각각 서로에 대해 낮은 상관성을 가지게되며, 
     - 이는 결국 두 신호가 다중경로 페이딩에 상호 독립적이게되어,
     - 한 신호가 깊은 페이딩에 빠질 때, 다른 신호는 깊은 페이딩에 빠질 확률이 적으므로
     - 두 신호를 합성하면 다중경로 페이딩이 적은 신호를 만들 수 있는 원리
  ※ 이는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아님, 
     - 다이버시티 효과에 의해 전송의 신뢰도를 높이는 기술임
3. 공간 다이버시티의 구분
  ㅇ 안테나 다이버시티 (Antenna Diversity)
     - 송신 또는 수신측에 복수 개의 안테나(다중 안테나)를 설치하여,
     - 페이딩 영향을 개선하는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는 방법
  ㅇ 각도 다이버시티 (Angle Diversity) 방식
     - 전파의 도래 방향이 다르면, 수신 전계의 페이딩 상태가 달라지는 것을 이용
        . 같은 주파수, 지향성이 다른 2 이상의 안테나로 수신하고 페이딩 영향을 개선
  ㅇ 경로 다이버시티 (Path Diversity) 방식
     - 전파 경로가 다르면, 수신 전계의 페이딩 상태가 달라지는 것을 이용
        . 2 이상의 루트를 설정하여, 각 루트의 수신 출력을 합성 또는 바꾸는 것에 의해
          그 영향을 경감시킴
  ㅇ 사이트 다이버시티 (Site Diversity) 방식
     - 수신 안테나의 설치 장소가 다르면, 수신 전계의 페이딩 상태가 달라지는 것을 이용
        . 2 이상의 수신소 또는 송신소의 장소를 달리하여 설치하고, 각 전파로의 수신
          출력을 합성 또는 절체하여 그 영향을 경감시킴
  ※ 전파의 전파에 서로다른 경로,수신 각도,위치 등을 주면,
     - 수신 전계의 페이딩, 강우감쇠의 발생시간,크기,빈도 등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