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AP-D (Link Access Procedure on the D-channel)
  ㅇ 여기서, LAP (Link Access Procedure) 이란?
     - 노드 간에 데이터 링크를 구성 시에 또는 기 구성된 데이터링크에 접속하는 절차
        . `노드 to 노드` 보다는 `노드 to 데이터링크`에 접속하는 절차
  ㅇ LAP-D는,
     - ISDN에서 D 채널 상의 데이타링크의 설정,유지,해제 기능과 데이타 프레임
       배열, 에러검출 기능 등을 수행하는 비트 중심 프로토콜
     - 이 프로토콜은, D 채널상에서 제어 및 신호 정보의 흐름과 적절한 수신 보장이 목적
     - 한편, DSS1 (Digital Subscriber Signalling System 1) 데이터링크 계층이라고도함
2. LAP-D 특징
  ㅇ 데이터링크 계층(2 계층)에서 동작되는 프로토콜
  ㅇ HDLC 및 LAPB 프로토콜과 유사
    - X.25의 LAPB를 모델화하여 유도됨
    * LAP-D가 LAP-B와 다른 점
       . LAP-D는, 다중화된 채널을 성립시킬 수 있다는 것
       . 즉, 여러 개의 논리적 링크를 양 끝점(1:多)에서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 것
  ㅇ 점대점 또는 점대 다중점 간의 물리적 연결을 통해,
     . 순차적, 동기적, 전이중방식의 통신 기능을 제공
  ㅇ 관련 표준 : ITU-T Q.920, Q.921 또는 I.440, I.441, I.444
3. LAP-D 기본기능
  ㅇ 접속설정
  ㅇ 프레임전송
  ㅇ 순서제어
  ㅇ 에러제어
  ㅇ 에러복구
  ㅇ 흐름제어
4. LAP-D 프레임 포멧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