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ase Distortion, Delay Distortion, Group Delay Distortion   위상 왜곡, 지연 왜곡, 군지연 왜곡 | (2016-10-31) | 
1. 위상 왜곡, 위상 지연 왜곡(Phase Delay Distortion), 군지연 왜곡(Group Delay Distortion)
  ㅇ 신호의 모든 주파수 성분 각각에서의 `시간 지연`이 일정하지 못함을 말함
     - 신호가 통신 채널을 거치면서 각 주파수 성분이 서로 다른 `시간지연`을 겪게됨
        . 주파수에 따른 위상 특성이 비선형적(주파수별로 다른 행태를 보임)이어서,
          각각의 주파수에 대해 다른 시간지연을 갖음
           . 신호의 주파수 성분별로 다른 시간 지연이 나타나는 비선형적인 응답 특성
  ㅇ 여러 주파수 성분을 갖는 신호가 분산성 채널을 통과할 때, 
     - 신호가 갖는 각 주파수 성분들이 다른 위상 변화량(시간지연)을 겪음에 따라 발생
 
        . 신호의 주파수 성분별로 다른 시간 지연이 나타나는 비선형적인 응답 특성
  ㅇ 여러 주파수 성분을 갖는 신호가 분산성 채널을 통과할 때, 
     - 신호가 갖는 각 주파수 성분들이 다른 위상 변화량(시간지연)을 겪음에 따라 발생
      ㅇ 결국, 위상의 주파수 의존성이 비선형적인 채널은 => 신호의 왜곡 현상을 유발시킴
     
2. 이상적인 무왜곡 전송
  ㅇ 주파수 응답 특성이 `상수이득` 및 `선형위상` 이어야 함 
  ㅇ 위상왜곡이 없으려면, 
     - 전송되는 신호의 모든 주파수 성분들에 대하여 시간 지연(t。)을 `동일하게`
       유지하여야 함
  ㅇ 결국, 위상의 주파수 의존성이 비선형적인 채널은 => 신호의 왜곡 현상을 유발시킴
     
2. 이상적인 무왜곡 전송
  ㅇ 주파수 응답 특성이 `상수이득` 및 `선형위상` 이어야 함 
  ㅇ 위상왜곡이 없으려면, 
     - 전송되는 신호의 모든 주파수 성분들에 대하여 시간 지연(t。)을 `동일하게`
       유지하여야 함
      - 즉, 주파수에 따른 위상편이 θ(f)가 주파수에 선형 함수가 되어야함
 
 
     - 즉, 주파수에 따른 위상편이 θ(f)가 주파수에 선형 함수가 되어야함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Copyrightⓒ 차재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