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기 양자수(Magnetic Quantum Number) : ml
  ㅇ 수 규칙 :  ml = -l,-(l-1),...,0,...,l-1,l 
  ㅇ 물리적 특징 : 궤도면의 방향/기울기 (즉, 궤도함수의 공간적 배향을 나타냄)
  ㅇ 양자화 특징 : 공간 양자화 (즉, 궤도함수의 배향/방향)
     - 원자가 자기장 내에 있을 경우에, 각 운동량 방향에 대한 양자화  ☞ 공간 양자화 참조
         
2. 주 양자수, 부 양자수, 자기 양자수 관계
  ㅇ 수치 관계
      
  ㅇ 포함 관계
     - 각 n에 대해, ml 값의 수 = n2 개 (궤도함수의 수)
        . 즉,  n=1 : 1개, n=2 : 4개, n=3 : 9개, ...
     - 특정 n에서, 각 l에 대해, ml 값의 수 = 2l+1 개 (궤도함수의 수)
        . 즉,  l=0 : 1개, l=1 : 3개, l=2 : 5개, l=3 : 7개,... 
        . 즉,  s 궤도함수 : 1개, p 궤도함수 : 3개, d 궤도함수 : 5개, f 궤도함수 : 7개, ...
  ㅇ 수용 가능 최대 전자 수
       
     - 부껍질 당 가질 수 있는 최대 전자 수 : 2(2l+1)  
        . { 2, 6, 10, 14, ... }
     - 주껍질이 가질 수 있는 최대 전자 수  : 2n2
        . { 2, 8=(2+6), 18=(2+6+10), 32=(2+6+10+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