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측지학 (Geodesy)
  ㅇ 지구의 물리학적 변동(중력장,운동,조석,지각 변화 등)을 고려하여,
     - 불규칙한 지구의 형상(크기,형태,곡면 등), 지구의 운동, 지자기, 중력, 시각(時刻),
       지구 표면 및 공간 상의 위치 관계 등을 확정하기 위한 과학적 현상을 밝혀내고,
     - 이러한 정보를 측량자에게 제공하여 줌
     - 결국, 측량의 기본이 되는 학문
  ㅇ 측지학 구분
     - 물리학적 측지학 : 지구의 특성 결정을 위함. 지구 물리학과 밀접한 관련 있음
     - 기하학적 측지학 : 위치 결정을 위함
2. 지구 형상의 가정
  ※ ☞ 지구 타원체 (Earth Ellipsoid) 참조
     - 실제 지구를 수학적(기하학적)으로 근사화시킨 회전 타원체
        . 즉, 기하학적으로 정의되는 타원체
        . 이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기하학적 타원체로써, 굴곡이 없는 매끈한 면으로 가정됨
        . 여기서, 회전축은 대략 북극성(Polaris)를 향하며, 남극,북극을 통과함
     - [참고] 타원체에 대한 주요 척도 
        . (편평률 f, 이심률 e) : (장반경 a, 단반경 b)으로부터 계산 가능
           .. {# f = (a - b)/a, \quad e = \sqrt{(a^2 - b^2)/a^2} #}
3. 지구 형상의 가정에 따른 지표면 구분
      ㅇ 물리적 지표면 (Earth Surface)
     - 지구의 실제 물리적인 지표면
        . 너무 복잡하고, 불규칙하고, 변동이 심함 등으로 인해, 수학적으로 표현이 불가능 함
  ㅇ 평균 해수면 (Mean Sea Level, MSL)
     - 재래식 측량에서 사용되던 해수면(수준면) 관측값들의 평균값
        . 해수면은 재래식 측량에서 높이의 기준이 되는 면
     * 실생활에서는, 평균 해수면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를 많이 씀
  ㅇ 지오이드 (Geoid)
     - 지구 중력의 등 퍼텐셜면을 평균 해수면과 일치시키려고 한 것
  ㅇ 물리적 지표면 (Earth Surface)
     - 지구의 실제 물리적인 지표면
        . 너무 복잡하고, 불규칙하고, 변동이 심함 등으로 인해, 수학적으로 표현이 불가능 함
  ㅇ 평균 해수면 (Mean Sea Level, MSL)
     - 재래식 측량에서 사용되던 해수면(수준면) 관측값들의 평균값
        . 해수면은 재래식 측량에서 높이의 기준이 되는 면
     * 실생활에서는, 평균 해수면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를 많이 씀
  ㅇ 지오이드 (Geoid)
     - 지구 중력의 등 퍼텐셜면을 평균 해수면과 일치시키려고 한 것